동아시아
미얀마 봉제노동자가 서구패션브랜드의 철수를 요구하다
미얀마는 서구 패션브랜드의 가장 큰 아웃소싱 국가이다. 미얀마 봉제 노동자들은 군부독재와 하청으로 인한 이중의 인권⋅노동탄압에 직면해 있다. 2023년 5월 14일
[동아시아]미얀마"젊은 여성들이 일본 정치 바꾸자" - 피프티스 프로젝트(FIFTYS PROJECT)
지난 4월 일본에서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여성 정치인의 숫자를 30%까지 늘리자는 목표로 활동한 "피프티스 프로젝트 FIFTYS PROJECT"의 활동이 성과를 내며 주목을 끌었다. 2023년 5월 12일
[동아시아]일본왕실모독죄에 저항하는 태국 활동가의 단식투쟁
태국에서 20대 활동가가 왕실모독죄로 28년형을 선고받자 왕실모독죄 폐지 투쟁이 확대되었다. 2023년 5월 10일
[동아시아]태국아시아 10개국 노동절의 역사와 현재
아시아에서 메이데이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는 노동자계급 운동의 운명을 반영하는, 길고 고단한 역사를 갖고 있다. 2023년 5월 5일
[읽을거리]노동[동아시아]나이키 신발 만드는 후난성의 여성노동자 100여 명이 파업에 나서다
지난 2월 16일, 중국 후난성에 위치한 카이성 신발공장 노동자들이 정리해고와 체불 임금 문제에 항의하며 파업을 벌였다. 2023년 4월 14일
[동아시아]중국대륙강제징용 3자변제와 미래기금에 대한 일본 시민사회의 반응
일본 언론과 시민사회는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강제징용 해법’과 한일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2023년 4월 12일
[동아시아]일본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류와 탈핵운동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물에 희석해서 버리면 괜찮다고 하지만, 그 방사선 물질의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 핵발전소의 위험성은 단지 한·일 문제가 아니라, 인류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다. 2023년 4월 11일
[동아시아]일본베트남 전쟁 시기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960~70년대 일본 사회는 반전평화운동의 물결로 뜨겁게 불타올랐다. 우리는 이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023년 4월 10일
[동아시아]일본2.28 사건 이후 76년, 대권주자로 등극한 학살자의 증손자
지난 2월 28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28사건 기념식에서 기습시위가 일어났다. 청년들이 장제스의 증손자인 현 시장에게 항의의 목소리를 낸 이유는 일까? 2023년 4월 5일
[동아시아]대만말레이시아 음식배달 플랫폼 그랩 노동자들의 하루 파업
2022년 8월, 그랩 배달노동자들이 낮은 건당 배송비에 항의하며 하루 파업을 펼쳤다. 노동운동이 취약한 말레이시아에서 이 투쟁은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다. 2023년 3월 29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위기의 동북아, 오키나와-한국 반전평화연대의 길을 묻다
지난 3월 6일 플랫폼c에서 오키나와에서 온 반전평화 활동가 카미야 미유키와의 간담회가 열렸다. 2023년 3월 28일
[동아시아]오키나와[활동]동아시아 공부모임마츠모토 하지메가 『탕핑주의자 선언』을 번역한 이유
중국 대륙에서 지하 출판된 『탕핑주의자 선언』이 일본에서도 번역 출간됐다. 이를 제작한 마츠모토 하지메에게 왜 이 글을 번역했는지, 중국과 일본 청년들의 현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지 물었다. 2023년 3월 3일
[동아시아]일본1920년대 형평사 운동과 부락민 해방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들
1923년 진주에서 시작한 형평사 운동은 1년 전인 1922년 일본의 수평사 운동과 연결되어 있다. 불평등에 맞선 이 운동의 역사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있다. 2023년 3월 2일
[동아시아]일본동남아 1위 차량호출 플랫폼 ‘그랩’의 초국적성, 지배력, 그리고 저항
대다수 플랫폼 기업들은 초국가적으로 운영된다. 노동운동은 어떻게 초국가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2023년 3월 2일
[동아시아]한국와이퍼의 일방적 폐업과 해고에 맞선 한·일 노동자의 연대
일본 자동차부품사 덴소의 한국 법인 한국와이퍼의 노동자들이 협약마저 어긴 사측의 폐업 통보에 맞서 투쟁하고 있다. 2023년 3월 1일
[동아시아]일본충칭 | 임금 체불과 해고에 분노한 코로나 검사키트 공장 노동자들
2023년 1월 초, 새해 벽두부터 중국 충칭에 위치한 의료기기 공장에서 대규모 노동자 시위가 발생했다. 코로나 검사키트를 만들던 노동자들은 엄혹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왜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었을까? 2023년 2월 28일
[동아시아]중국대륙아시아의 환경 재해와 산업재해를 위한 대응 사례로부터 배우자
아시아 직업환경 피해자권리 네트워크의 주최로 환경·보건·안전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2023년 2월 2일
[동아시아]인도네시아[읽을거리]노동중국 「탕핑주의자 선언 躺平主义者宣言」 번역
2021년 중국 대륙에서 ‘탕핑’이라는 말이 일종의 행동주의적 지침으로 유행하자, 당국은 서둘러 이 말을 검색 금지어로 등록했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가난하고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파트타임 일자리를 전전하는 인민들 사이에 널리 퍼진 후였다. <탕핑주의자 선언>은 이런 물결 속에서 작성됐다. 2021년 6월 1일 중국 대륙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이내 목각으로 제작되어 불법 출간되었다. 1년이 지난 2022년 6월 1일 수정된 버전이 ‘제2판’으로 발표됐다. 플랫폼C에서 ‘미상’으로 알려진 작성자의 동의를 얻어 번역하였다. 이 글은 일본어로도 번역 출간되었다. 2023년 2월 2일
[동아시아]중국대륙일본의 보육 환경… 어린이집은 부족하고, 노동조건은 열악하다
일본 정부는 단순히 ‘출생 예산’을 증액하는 이상으로 여성과 보육노동자가 처한 상황 자체를 개선하려는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2023년 2월 1일
[동아시아]일본어느 말레이시아 청년이 학생운동에 뛰어들게 된 이유
말레이시아 좌파 활동가 아나스 나짐 인터뷰 2023년 1월 30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고야마 히로타케 저, 한상구·조경란 역, 『일본 마르크스주의사 개설』 서평 2023년 1월 26일
[동아시아]일본몽골의 석탄 스캔들은 껍데기뿐인 민주화의 민낯을 보여준다
몽골 청년, ”만일 시민들이 일어나면 잔치는 끝날 것“이라고 외치다. 2023년 1월 20일
[동아시아]몽골전쟁은 그만 | ② 오키나와 전쟁 시나리오 폭로
"나는 전쟁 위기감을 부추기고 ‘대만 유사사태가 가까워왔다’고 소리치고 싶은 것은 아니다. 단지 무슨 일이 있더라도 오키나와 전투의 희생양이었던 난세이 제도의 주민이 또 다시 전쟁의 총알받이가 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한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전쟁은 그만 | ① 대만이 전쟁터가 된다면 오키나와도 안전하지 않다
미국과 중국이 대만에 ‘유사사태’를 만들고 오키나와가 그 전쟁터가 되고 만다면, 그 전쟁은 과연 오키나와에만 머무를까?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중국 백지 시위와 함께 한 사람들의 잊지 못할 밤
그날 밤 상하이 거리에서는 어떠한 법치의 존재도 찾아볼 수 없었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중국대륙우루무치 화재 참사 이후 홍콩 사회주의자들의 요구
"여느 때보다 시급하게 신장위구르자치구와 다른 여러 지역에 거주하는 한족 주민들은 계속해서 위구르족과 억압받는 소수민족의 투쟁을 자신들의 중심에 두고 그들과 함께 싸워야 한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홍콩중국대륙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② 전후 일본공산당의 오류
전후 일본공산당의 역사는 운동의 주체가 언제나 스스로를 혁신의 대상으로도 바라볼 수 있어야 함을, 스스로를 변화시키면서 만들어나가는 해방의 동력이 운동의 근간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2022년 동아시아 사회운동 10대 사건
생존에 대한 전방위적인 위협 앞에서 동아시아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은 곳곳에서 자신의 싸움을 벌이고 있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콜센터 산업의 착취에 맞서 싸우는 필리핀과 미국의 노동자들
필리핀과 미국, 그리고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콜센터 노동자들은 연결되어 있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필리핀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① 비서구의 자본주의 발전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고야마 히로타케의 『일본 자본주의 논쟁사』는 전전과 전후의 논쟁사를 매우 소상하게 정리한다. 하지만 1953년 당시 저자는 일본공산당의 스탈린주의적 전통에 천착해 있을 시기이기 때문에 독서에 주의가 필요하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일본요양 대란을 앞둔 일본 베이비붐 세대의 불안과 대안
한때 일본 사회를 뒤흔들었던 전공투세대가 후기 노년기로 접어든다. 2025년에 요양대란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년 세대는 노령화 문제를 어떻게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가. 2022년 12월 4일
[동아시아]일본중국 우루무치 화재 참사와 백지 시위
2022년 12월 2일
[동아시아]중국대륙폭스콘 공장 노동자들, 코로나 방역 부실 속에 건강권 위해 격렬 시위
애플과 폭스콘 자본, 그리고 중국 정부는 공장 내 방역 문제와 생산관리에 있어서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지 않았고, 관리의 결함이 발생하고 노동자들의 불만이 폭발하자 허둥지둥대는 모습으로 일관했다. 2022년 11월 30일
[동아시아]중국대륙푸드판다 라이더들은 어떻게 저항을 조직했을까? ②
2022년 11월 18일
[동아시아]홍콩푸드판다 라이더들은 어떻게 저항을 조직했을까? ①
2022년 10월 29일
[동아시아]홍콩시국도 해설 : 어느 홍콩인의 눈으로 본 2022년 동아시아
2022년 10월 28일
[동아시아]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시진핑 3연임 규탄 시위
베이징과 상하이 등 중국 주요 도시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과 억압, 시진핑 3연임 결정 규탄 시위 2022년 10월 28일
[동아시아]중국대륙한국과 일본의 LNG사업과 베트남 에너지전환
2022년 9월 5일
[동아시아]베트남일본 시민사회,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평화 네트워크 구축 호소
2022년 9월 4일
[동아시아]일본팬데믹 시기 베이징의 배달 노동자들 [상]
겨울은 끝나가는데 봄은 오는 걸까? 2022년 9월 2일
[동아시아]중국대륙저임금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만 중화택배 노동자들의 투쟁
2022년 9월 2일
[동아시아]대만기시다 후미오의 ‘새로운 자본주의’는 없다
2022년 9월 1일
[동아시아]일본쿠데타 이후 미얀마 노동자들은 여전히 일터의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고 있다
2022년 8월 31일
[동아시아]미얀마한국에서의 이주노동자 투쟁과 연대가 걸어온 길
2022년 7월 27일
[동아시아][읽을거리]노동중국 시민 4천 명이 정저우시 도심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인 이유
2022년 7월 25일
[동아시아]중국대륙물은 모두의 것!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민중의 물사유화 저지 투쟁
2022년 6월 30일
[동아시아]인도네시아“오키나와를 평화의 허브로 삼아 아시아를 연결하자”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한 후 1952년에 열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미군은 오키나와를 통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1972년, 오키나와는 일본에 반환되었고, 2022년인 올해 5월로 반환 50주년을 맞이했다. 그러나 현재 일본 국토의 0.6%에 불과한 오키나와 땅에 주둔한 미군 기지는 일본 전체 기지의 70%를 차지하여 50년전보다(59%) 오히려 늘어났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오키나와의 정치적 군사적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 2022년 6월 30일
[동아시아]일본[읽을거리]반전평화대만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이끌어온 베테랑 활동가 치자웨이
치자웨이는 대만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선구자이자 베테랑 운동가다. 2022년 6월 28일
[동아시아]대만싱가포르 | 민주주의 없는 ‘디즈니랜드’의 사형제도 폐지 운동
2022년 6월 28일
[동아시아]싱가포르일본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 노동조합을 결성하다
2022년 6월 26일
[동아시아]일본베트남 노동자계급의 저항은 어떤 변화를 이끌었는가
RSOA와 베트남 노동연구자 조 버클리의 인터뷰 ② 2022년 6월 24일
[동아시아]베트남태국 | 여성·페미니즘·성소수자 운동의 현재와 미래
2020년 이래 태국 가부장제에 염증을 느낀 태국 여성, 페미니스트, 성소수자들이 정권에 맞서 단결하고 있다. 2022년 5월 31일
[동아시아]태국일본 외국인 기능실습생제도의 이주노동자 차별에 맞선 운동
2018년 개정된 일본 출입국관리법은 이주노동자 인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이주민을 ‘단순 노동력’으로만 본다. 극우주의자들은 이 법이 '외국인'을 우대한다고 비난하지만, 오히려 노동력의 수급 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뿐이다. 2022년 5월 29일
[동아시아]일본‘혐중’의 시대, 한·중 청년의 연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2022년 5월 3일
[동아시아]태국은 정말 식민지를 경험하지 않은 국가인가?
오늘날 태국 사회 혹은 사회운동과 접속하려면 태국 현대사의 굴곡을 거슬러 올라가 이해해야 한다. 2022년 4월 22일
[동아시아]태국중국 | 대학 캠퍼스 민주벽에서의 저항
민주벽(民主牆)은 그러한 대자보들이 부착된 하나의 정치적 공간이다. 언론자유가 제약되는 20세기 동아시아의 특수한 저항공간에서 대자보는 아래로부터의 사상해방 운동이었고, 대학 사회의 저항의 일부였다. 2022년 4월 17일
[동아시아]중국대륙베트남 노동운동의 성장은 매우 고무적이다
RSOA와 베트남 노동연구자 조 버클리의 인터뷰 ① 2022년 4월 7일
[동아시아]베트남찟 푸미삭과 태국의 정치적 맥락에서 그의 이미지
이 글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기마다 달라진 태국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며 군부정권, 공산주의 조직, 학계, 활동가, 지방정부가 어떻게 찟 푸미삭의 이미지를 구축해왔는지 살펴본다. 2022년 3월 30일
[동아시아]태국일본 내 스리랑카 이주노동자, 직장내 괴롭힘에 맞서 싸워 복직
일본의 한 우설 스테이크 체인 직영공장에서 일하던 스리랑카 출신 이주노동자가 낙태 혹은 귀국을 협박하는 회사에 맞서 싸우고 있다. 사측은 책임 인정을 회피하다가 시민사회의 압박에 이 노동자를 복직시켰다. 2021년 12월 17일
[동아시아]일본今、韓国・日本民衆の「下からの国際連帯」が必要な理由
2021년 11월 1일
[동아시아][LANG·語言 🌐]⽇本語싱가포르 | 활동가가 된 버스 운전기사
2021년 10월 6일
[동아시아]싱가포르[동아시아와 사람] 20대의 또 다른 얼굴, 쉬리즈
2021년 9월 29일
[동아시아]중국대륙홍콩 | 지련회 해산과 1세대 민주운동의 종결
2021년 9월 24일
[동아시아]홍콩홍콩 | 직공맹에 대한 전방위적인 탄압으로 해산 절차 돌입
2021년 9월 24일
[동아시아]홍콩나고야 출입국관리소 이주노동자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촉구 운동
2021년 9월 24일
[동아시아]일본중국 | 26세의 노동연구자이자 활동가가 국가정권 전복 선동 혐의로 체포되다
2021 년 9월 15일
[동아시아]중국대륙“极端天气”成为日常,危机的东亚
韩中日的气候危机 中国河南省暴雨,日本大洪水 极端天气的危机,是自然的吗? 2021년 8월 31일
[동아시아]중국대륙[LANG·語言 🌐]中文日常になった「極端な気候現象」、危機の東アジア
韓中日の気候危機 中国河南省の豪雨、日本の大洪水 極端な気候危機、自然なのか 2021년 8월 30일
[동아시아]중국대륙[LANG·語言 🌐]⽇本語996制…120時間…過労に苦しむ韓中日の労働者たち
「過労社会」東アジア 1日11時間、夜勤に苦しめられた青年の死 香港、台湾、日本、中国、韓国も事情は類似 2021년 8월 1일
[동아시아]중국대륙일본[LANG·語言 🌐]⽇本語Towards an East Asian Solidarity From Below
2021년 7월 3일
[동아시아][LANG·語言 🌐]ENGLISH탕핑 : 중국 대도시 신빈곤계급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
2021년 4~6월 중화권 인터넷에는 ‘탕핑’, ‘탕핑족’, ‘탕핑주의’ 등의 신조어들이 등장해 여론을 뜨겁게 달구었다. 이 글은 「躺平:城市新贫困阶级的非暴力不合作运动」을 번역한 후 적절히 교정한 것으로, ‘탕핑’에 대한 해설이다. 2021년 7월 1일
[동아시아]중국대륙정치적 자유를 위한 싱가포르인들의 외침
싱가포르인들은 집회,결사의 자유가 가로막혀 있는 것에 항의해 싸우며, 더 나은 길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 6월 30일
[동아시아]싱가포르왜 지금 생태사회주의인가 : 사사키 류지×사이토 코헤이 『마르크스와 생태주의』 대담
2020년 6월 15일
[동아시아]일본보다 급진적인 홍콩을 위한 상상력
튄문공원(屯門公園) 시위에서 나타난 본토주의에 대한 고찰 2019년 12월 12일
[동아시아]홍콩홍콩 불안의 이면에서 부동산 헤게모니는 어떻게 드러나는가
『홍콩 토지와 지배계급』 저자 앨리스 푼과의 대화 2019년 11월 21일
[동아시아]홍콩홍콩 시위는 이주민에 대한 무관심을 멈춰야 한다
동남아 출신 이주노동자들도 ‘홍콩인’이다. 하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대변되지 못하고 있다. 2019년 11월 11일
[동아시아]홍콩미국의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 2019년 10월 16일
[동아시아]홍콩홍콩 대중운동의 민주화 요구와 정당정치
2019년 9월 4일
[동아시아]홍콩ILO, 중국 정부에 모든 노동운동가 석방 촉구
2019년 7월 8일
[동아시아]중국대륙홍콩 직공맹, 송환조례 개정 저지를 위한 입법회 앞 집회 참여 호소
홍콩직공회연맹은 일을 멈추고 입법회 행동에 참여할 것을 호소한다. 2019년 6월 11일
[동아시아]홍콩중국의 빅브라더 ‘천망 시스템’은 무엇인가?
감시사회는 비단 ‘독재국가’라 구분되는 사회에만 닥쳐오는 것이 아니다. 사회운동과 시민들의 관심이 줄어든다면, 그것은 세계 어디에서나 도래할 수 있다. 2019년 5월 31일
[동아시아]중국대륙동성애에 대한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평론
표면적으로 보기에 성소수자와 여성 이슈를 포함한 인권운동을 억압하는 것처럼 보이는 당-국가가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입장을 발표한 이 모순적인 상황은 또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2019년 5월 27일
[동아시아]중국대륙중국 사회신용시스템, 어떻게 진행돼 왔고 무엇이 문제인가
'빅데이터 시대'에 대한 찬사가 쏟아지는 오늘, 한국 사회는 한편으로는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했다는 것에 자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웃나라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엄청난 규모의 기술 발전에 대한 경쟁의식을 자극하고 있다. 특히 중국 사회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에 대한 부러움의 시선은 그것에 대한 우려와 비판보다 월등히 높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그것이 어떤 문제를 야기할지, 중국 사회를 어떻게 망가뜨릴 것인지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2019년 5월 27일
[동아시아]중국대륙나쁘거나 매우 나쁘거나… 중국의 신세대 농민공의 삶
‘세계의 공장’으로서의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는 단연 광둥성 선전시다. 이곳에는 해외 자본을 포함해 수많은 공장들이 있고, 그곳에서 일하는 수백만 명의 노동자들이 있다. 이들은 경제발전의 주역이면서, 동시에 가장 가난하고 가장 억압받는 계급이기도 하다. 본 글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선전에서 일하는 신세대 농민공들이 느끼는 억압과 고민, 삶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2019년 5월 7일
[동아시아]중국대륙중국 산업현장, 여성노동자 ‘반성폭력 운동’의 불씨로 타올라야 한다
지엔자오부락과 녹색장미의 여성노동자 실태 조사 결과, 제조업 현장에서의 직장내 성희롱 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노동자들의 미투 운동을 통한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2019년 5월 3일
[동아시아]중국대륙표류하는 어느 청년 농민공의 고백
청년 농민공 샤오하이가 떠돌이 노동자로 살아온 자신의 삶과 시에 대해 이야기한다. 2019년 4월 22일
[동아시아]중국대륙베이징 변두리엔 왜 철거된 마을이 많을까
“정말이지 이 세상은 사람을 살 수 없도록 몰아붙이고 있어요.” 2019년 3월 28일
[동아시아]중국대륙중국 경제성장의 어두운 이면과 노동자들의 절규
오늘날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린다. 세계의 주요한 공산품들이 “MADE IN CHINA” 라벨을 달고 생산된다. 이는 중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엔 농민공의 엄청난 희생이 있다. 2019년 3월 27일
[동아시아]중국대륙아래로부터의 동아시아 국제연대를 위한 제언
동아시아는 추락하는 자본주의를 구제할 한줄기 동아줄인가? 아니면 급기야 중동을 압도하는 화약고가 될 것인가? 한반도와 일본 등에서의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점증하는 동아시아 전쟁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자본주의 체제는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오늘날 동아시아는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노동자운동·사회운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2019년 3월 19일
[동아시아]중국대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