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
하자라족 난민 샴스는 왜 인도네시아 구치소에 10년이나 갇혔나
아프가니스탄의 소수민족 하자라족 청년 샴스는 왜 인도네시아까지 머나먼 여정을 떠나야 했을까? 2023년 9월 17일
[동아시아]인도네시아중국의 정보공개청구운동이 맞닥뜨린 거대한 벽
정부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는 아래로부터의 관료통제를 확대해나가는 운동이자, 더 많은 민주주의를 위한 운동이다. 중국에도 정보공개제도가 있지만, 시작과 함께 이는 큰 장벽에 가로 막혔다. 2023년 9월 17일
[동아시아]중국대륙태국 총선 이후의 반동에 맞서 민주화운동은 다시 거리로 나서야 한다
태국 민주화운동의 물결에 힘입어 미래전진당이 제1당이 됐음에도, 탁신계 정당과 친군부의 협작과 반동으로 시민들의 열망은 배반당했다. 그럼에도 민주화운동은 다시 투쟁에 나서야 한다. 2023년 9월 17일
[동아시아]태국
- 읽을거리 →
기후위기 시대, 탄소배출 절감의 대안은 철도 통합이다
기후위기 시대 철도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서울에서 부산을 오갈 때 승용차나 항공기 대신 철도를 이용할 경우, 탄소 배출량은 훨씬 적다. 2023년 9월 13일
[읽을거리]기후정의마리치에우 산티아고 ② | 산티아고에서 『파업전야』 상영회를 열다
우연한 계기로 산티아고에서 세 차례에 걸쳐 한국 사회운동의 역사와 오늘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구 반대편으로부터의 상호참조와 국제연대를 위한 작은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2023년 9월 8일
[읽을거리]국제지난 백년 철도 노동자들의 투쟁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지난 100여 년 철도노동자들이 보여온 행동의 역사는 이 땅에 진정한 민주주의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동자들이 아래로부터 단결하고 자신의 힘을 확인해나갈 때, 나아가 함께 투쟁해야 한다는 점을 증명한다. 2023년 9월 6일
[읽을거리]노동
- 큐레이션 →
노동절 맞은 이주노동자들의 외침 "강제노동 철폐하고, 노동허가제 도입하라"
노동절을 맞아 ‘2023 세계노동절, 강제노동철폐! 이주노동자 메이데이 집회’가 열렸다. 2023년 5월 10일
[큐레이션]동아시아 뉴스레터[읽을거리]노동🏂노동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사축? 퇴사? 😡
위클리 사회운동 뉴스레터 제57호 | 2022년 7월 12일(화) 발송 2022년 7월 12일
[큐레이션]위클리 사회운동민주노총 게임대회 논란에서 시작된 게임과 사회운동에 관한 작은 토론
노동자운동과 게임, 청년 조합원 사업 등의 주제로 소소하면서도 진지한 토론을 했다. 2021년 4월 27일
- 출판 →
- 활동 →
건설노동자인 아빠에게 묻고 싶었던 것
결국 그러지 못했지만 아빠에게 묻고 싶었다. 아빠는 이 상황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어떻게 살아왔고 살고 있는지, 아빠한테도 인마, 새끼라고 부르는 개새끼가 있었는지……. 2023년 7월 31일
"건설노조 탄압, 우리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월례포럼 후기
건설노조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아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 같다. 다들 집 사는 데에는 관심이 있지만 집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관심은 없으니까. 2023년 7월 26일
[활동]월례포럼집이 재난이 된 지금, 인권으로서의 집을 요구하자!
전세사기는 누가, 어떻게 책임져야 하는 것인가. 플랫폼C 6월 월례포럼에서는 민달팽이 유니온 서동규 활동가, 미추홀구 전세사기 피해대책위원회 박순남 부위원장을 초청하여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현장에서 오갔던 이야기들을 전한다. 2023년 7월 7일
- LANG·語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