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6월 13일 일본에서 아마존재팬의 배달기사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노동자들은 원청인 아마존재팬과 하청운송사를 상대로 단체교섭요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개인사업자 신분으로 맺은 업무위탁계약을 거부하고 노동자 신분으로 노동계약(한국의 근로계약)을 다시 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노동시간과 배송수당을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요코스카시의 한 배송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로 아직은 숫자가 많지 않다. 하지만 이 노동자들은 전국 각지에서 같은 문제를 겪는 아마존 배달노동자들의 가입도 기대하고 있다. 이런 지향에 따라 ‘아마존배달원조합 요코스카지부(アマゾン配達員組合横須賀支部)’를 결성하고, 렌고(連合)에 가맹된 전국유니온(全国ユニオン)산하 지역합동노동조합인 도쿄유니온(東京ユニオン)에 가입했다.

아마존재팬은 작년 6월부터 인공지능(AI) 기술과 배달원 개인의 휴대폰에 설치하는 앱을 통해 배달원들을 관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앱을 통해 배달원들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노동시간을 관리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배달 장소를 지정하고 있다. 원청 기업에 의해 전반적인 노동 통제가 이뤄지는 것이다.
노조를 결성한 주체들은 도쿄 수도권 카나가와현 요코스카시(神奈川県 横須賀市)에서 일하는 개인사업자 신분의 택배노동자 10여 명이다. 이들은 아마존재팬에 속하지 않고, 하청운송사 및 2차하청운송사와 업무위탁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마존재팬으로부터 직접적인 지휘명령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일본 노동기준법(한국의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하는 것이 ‘위장청부(偽装請負, 한국의 위장도급)’에 해당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하청업체 또한 위탁계약을 맺은 배달노동자를 대상으로 아침조례, 업무지시, 타 배달원에 대한 보충업무 지시 등을 내려 사실상 노동자로서 배달원들을 활용하고 있다. 또, 하루에 배달해야 하는 업무건도 100개에서 200개로 2배 늘었다. 따라서 장시간노동이 상시화되면서, 길 때는 하루 13시간까지 일해야 하는 처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