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tag]
일본 | 유산유도제 도입의 과거와 현재, 앞으로의 과제
일본에서는 유산유도제가 도입됐지만, 아직 몇 가지 문제가 남아있다. 2023년 8월 18일
[동아시아]일본[읽을거리]페미니즘극단적 기후위기 도래한 동아시아, 기후정의운동이 필요하다!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점점 심각해지는 기후위기에 맞선 기후정의운동의 대중적 확장이 중요한 때다. 2023년 8월 14일
한국과 일본의 교사들, 희망의 노래를 함께 부르다
8월의 첫째 날, 전교조 서울지부 소속 고교교사들과 일본 나고야YWCA아이치현립고등학교교직원조합 교사들의 교류가 용산 ITX 회의실에서 열렸다. 2023년 8월 10일
일본 임신중지정책의 역사
2023년 7월 17일
[동아시아]일본오키나와 | 동아시아평화연대활동과 함께한 값진 휴가
2023년 7월 16일
[동아시아]오키나와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오염수방류에 반대한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불가피한 방법이 아니고, 안전성도 검증되지 않았다. 2023년 7월 10일
[동아시아]일본원폭국제민중법정 1차 국제토론회 개최 - 1945년 8월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와 2023년의 ‘확장억지’
1945년 원폭피해자들은 한국에도 있다. 이들의 목소리 속에서 현 동아시아 정세에 반추해야하는 교훈을 짚어본다. 2023년 6월 14일
"젊은 여성들이 일본 정치 바꾸자" - 피프티스 프로젝트(FIFTYS PROJECT)
지난 4월 일본에서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여성 정치인의 숫자를 30%까지 늘리자는 목표로 활동한 "피프티스 프로젝트 FIFTYS PROJECT"의 활동이 성과를 내며 주목을 끌었다. 2023년 5월 12일
[동아시아]일본危機の北東アジア、沖縄·韓国反戦平和連帯の道を問う
2023년 5월 10일
[LANG·語言 🌐]⽇本語아시아 10개국 노동절의 역사와 현재
아시아에서 메이데이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되는 노동자계급 운동의 운명을 반영하는, 길고 고단한 역사를 갖고 있다. 2023년 5월 5일
[읽을거리]노동강제징용 3자변제와 미래기금에 대한 일본 시민사회의 반응
일본 언론과 시민사회는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강제징용 해법’과 한일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2023년 4월 12일
[동아시아]일본후쿠시마 핵발전소 오염수 방류와 탈핵운동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물에 희석해서 버리면 괜찮다고 하지만, 그 방사선 물질의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 핵발전소의 위험성은 단지 한·일 문제가 아니라, 인류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다. 2023년 4월 11일
[동아시아]일본베트남 전쟁 시기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960~70년대 일본 사회는 반전평화운동의 물결로 뜨겁게 불타올랐다. 우리는 이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023년 4월 10일
[동아시아]일본위기의 동북아, 오키나와-한국 반전평화연대의 길을 묻다
지난 3월 6일 플랫폼c에서 오키나와에서 온 반전평화 활동가 카미야 미유키와의 간담회가 열렸다. 2023년 3월 28일
[동아시아]오키나와[활동]동아시아 공부모임마츠모토 하지메가 『탕핑주의자 선언』을 번역한 이유
중국 대륙에서 지하 출판된 『탕핑주의자 선언』이 일본에서도 번역 출간됐다. 이를 제작한 마츠모토 하지메에게 왜 이 글을 번역했는지, 중국과 일본 청년들의 현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지 물었다. 2023년 3월 3일
[동아시아]일본1920년대 형평사 운동과 부락민 해방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들
1923년 진주에서 시작한 형평사 운동은 1년 전인 1922년 일본의 수평사 운동과 연결되어 있다. 불평등에 맞선 이 운동의 역사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있다. 2023년 3월 2일
[동아시아]일본한국와이퍼의 일방적 폐업과 해고에 맞선 한·일 노동자의 연대
일본 자동차부품사 덴소의 한국 법인 한국와이퍼의 노동자들이 협약마저 어긴 사측의 폐업 통보에 맞서 투쟁하고 있다. 2023년 3월 1일
[동아시아]일본일본의 보육 환경… 어린이집은 부족하고, 노동조건은 열악하다
일본 정부는 단순히 ‘출생 예산’을 증액하는 이상으로 여성과 보육노동자가 처한 상황 자체를 개선하려는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2023년 2월 1일
[동아시아]일본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고야마 히로타케 저, 한상구·조경란 역, 『일본 마르크스주의사 개설』 서평 2023년 1월 26일
[동아시아]일본전쟁은 그만 | ② 오키나와 전쟁 시나리오 폭로
"나는 전쟁 위기감을 부추기고 ‘대만 유사사태가 가까워왔다’고 소리치고 싶은 것은 아니다. 단지 무슨 일이 있더라도 오키나와 전투의 희생양이었던 난세이 제도의 주민이 또 다시 전쟁의 총알받이가 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한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전쟁은 그만 | ① 대만이 전쟁터가 된다면 오키나와도 안전하지 않다
미국과 중국이 대만에 ‘유사사태’를 만들고 오키나와가 그 전쟁터가 되고 만다면, 그 전쟁은 과연 오키나와에만 머무를까?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② 전후 일본공산당의 오류
전후 일본공산당의 역사는 운동의 주체가 언제나 스스로를 혁신의 대상으로도 바라볼 수 있어야 함을, 스스로를 변화시키면서 만들어나가는 해방의 동력이 운동의 근간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2022년 동아시아 사회운동 10대 사건
생존에 대한 전방위적인 위협 앞에서 동아시아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은 곳곳에서 자신의 싸움을 벌이고 있다. 2022년 12월 31일
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① 비서구의 자본주의 발전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고야마 히로타케의 『일본 자본주의 논쟁사』는 전전과 전후의 논쟁사를 매우 소상하게 정리한다. 하지만 1953년 당시 저자는 일본공산당의 스탈린주의적 전통에 천착해 있을 시기이기 때문에 독서에 주의가 필요하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일본요양 대란을 앞둔 일본 베이비붐 세대의 불안과 대안
한때 일본 사회를 뒤흔들었던 전공투세대가 후기 노년기로 접어든다. 2025년에 요양대란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년 세대는 노령화 문제를 어떻게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갈 것인가. 2022년 12월 4일
[동아시아]일본2022년 9.24 기후정의행진과 동아시아 기후정의운동의 미래
2022년 9월 30일
[읽을거리]기후정의한국과 일본의 LNG사업과 베트남 에너지전환
2022년 9월 5일
[동아시아]베트남일본 시민사회,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평화 네트워크 구축 호소
2022년 9월 4일
[동아시아]일본기시다 후미오의 ‘새로운 자본주의’는 없다
2022년 9월 1일
[동아시아]일본🏂노동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사축? 퇴사? 😡
위클리 사회운동 뉴스레터 제57호 | 2022년 7월 12일(화) 발송 2022년 7월 12일
[큐레이션]위클리 사회운동“오키나와를 평화의 허브로 삼아 아시아를 연결하자”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한 후 1952년에 열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미군은 오키나와를 통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1972년, 오키나와는 일본에 반환되었고, 2022년인 올해 5월로 반환 50주년을 맞이했다. 그러나 현재 일본 국토의 0.6%에 불과한 오키나와 땅에 주둔한 미군 기지는 일본 전체 기지의 70%를 차지하여 50년전보다(59%) 오히려 늘어났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오키나와의 정치적 군사적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 2022년 6월 30일
[동아시아]일본[읽을거리]반전평화일본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 노동조합을 결성하다
2022년 6월 26일
[동아시아]일본일본 외국인 기능실습생제도의 이주노동자 차별에 맞선 운동
2018년 개정된 일본 출입국관리법은 이주노동자 인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이주민을 ‘단순 노동력’으로만 본다. 극우주의자들은 이 법이 '외국인'을 우대한다고 비난하지만, 오히려 노동력의 수급 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뿐이다. 2022년 5월 29일
[동아시아]일본일본 | 노동자가 노동자를 고용한다? 헤어샵 체인 QB하우스의 노동문제
지난 3월 16일 개별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노동조합인 일본노동평의회(日本労働評議会)가 헤어샵 프랜차이즈 브랜드 'QB하우스'에서 벌어지는 노동 문제를 고발했다. 2022년 3월 30일
[동아시아]일본600일 넘게 이어지는 한·일 노동자들의 연대
일본 전자부품 회사 ‘산켄전기サンケン電気’의 한국 지사인 ‘한국산연’의 위장폐업과 정리해고에 맞선 한일 연대투쟁이 600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2022년 2월 18일
[동아시아]일본일본 | 고령의 여성노동자, 비정규직 차별에 반대하며 연대의 손길 불러모아
2022년 1월 28일
[동아시아]일본일본 내 스리랑카 이주노동자, 직장내 괴롭힘에 맞서 싸워 복직
일본의 한 우설 스테이크 체인 직영공장에서 일하던 스리랑카 출신 이주노동자가 낙태 혹은 귀국을 협박하는 회사에 맞서 싸우고 있다. 사측은 책임 인정을 회피하다가 시민사회의 압박에 이 노동자를 복직시켰다. 2021년 12월 17일
[동아시아]일본今、韓国・日本民衆の「下からの国際連帯」が必要な理由
2021년 11월 1일
[LANG·語言 🌐]⽇本語나고야 출입국관리소 이주노동자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촉구 운동
2021년 9월 24일
[동아시아]일본日常になった「極端な気候現象」、危機の東アジア
韓中日の気候危機 中国河南省の豪雨、日本の大洪水 極端な気候危機、自然なのか 2021년 8월 30일
[동아시아]중국대륙[LANG·語言 🌐]⽇本語996制…120時間…過労に苦しむ韓中日の労働者たち
「過労社会」東アジア 1日11時間、夜勤に苦しめられた青年の死 香港、台湾、日本、中国、韓国も事情は類似 2021년 8월 1일
[동아시아]중국대륙일본[LANG·語言 🌐]⽇本語동아시아 뉴스레터 | 중국 음식배송 라이더들의 상징적 인물이 구속되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착취와 탄압이 거세지만 아래로부터의 저항도 지속되고 있다. 2021년 4월 5일
[東動] 미얀마 봉제공장 여성노동자가 앞장 선 총파업
동아시아 곳곳에서 다양한 업종의 노동자 투쟁이 계속되고 있다. 2021년 2월 26일
[큐레이션]동아시아 뉴스레터왜 지금 생태사회주의인가 : 사사키 류지×사이토 코헤이 『마르크스와 생태주의』 대담
2020년 6월 15일
[동아시아]일본아래로부터의 동아시아 국제연대를 위한 제언
동아시아는 추락하는 자본주의를 구제할 한줄기 동아줄인가? 아니면 급기야 중동을 압도하는 화약고가 될 것인가? 한반도와 일본 등에서의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점증하는 동아시아 전쟁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자본주의 체제는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오늘날 동아시아는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노동자운동·사회운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2019년 3월 19일
[동아시아]중국대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