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tag]
동남아 1위 차량호출 플랫폼 ‘그랩’의 초국적성, 지배력, 그리고 저항
대다수 플랫폼 기업들은 초국가적으로 운영된다. 노동운동은 어떻게 초국가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 2023년 3월 2일
[동아시아]더 강하게, 더 넓게 성장하고 있는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을 만나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와 플랫폼C,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의 간담회 2023년 1월 29일
[읽을거리]노동노동자의 절박한 외침이 차곡차곡 쌓여있는 노조법 2·3조 개정 목소리
‘노동자로 인정하라’ ‘진짜 사장이 책임져라’ ‘파업권을 보장하라’ 2023년 1월 19일
[읽을거리]노동콜센터 산업의 착취에 맞서 싸우는 필리핀과 미국의 노동자들
필리핀과 미국, 그리고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콜센터 노동자들은 연결되어 있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필리핀노동자가 죽지 않는 일터를 위해 대학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서울대학교 청소노동자의 처우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에는 서울대 학교당국의 고질적인 이중적·차별적 고용구조가 있다 2022년 12월 1일
[읽을거리]노동폭스콘 공장 노동자들, 코로나 방역 부실 속에 건강권 위해 격렬 시위
애플과 폭스콘 자본, 그리고 중국 정부는 공장 내 방역 문제와 생산관리에 있어서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지 않았고, 관리의 결함이 발생하고 노동자들의 불만이 폭발하자 허둥지둥대는 모습으로 일관했다. 2022년 11월 30일
[동아시아]중국대륙공공부문 노동자 파업의 승리가 우리와 맞닿아 있는 까닭은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공동 파업의 요구는 의료와 운송, 건강 등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직결되어 있고, 공공성을 위한 정당한 투쟁이다. 2022년 11월 29일
[읽을거리]노동푸드판다 라이더들은 어떻게 저항을 조직했을까? ②
2022년 11월 18일
[동아시아]홍콩오늘, 부당노동행위와 임금 삭감, 직장내 성희롱에 맞서 싸우는 여성노동자들
2022년 11월 9일
[읽을거리]노동덕성여대 청소노동자들의 외침에 귀기울이고 함께 해야 한다
2022년 11월 8일
[읽을거리]노동푸드판다 라이더들은 어떻게 저항을 조직했을까? ①
2022년 10월 29일
[동아시아]홍콩저임금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만 중화택배 노동자들의 투쟁
2022년 9월 2일
[동아시아]대만쿠데타 이후 미얀마 노동자들은 여전히 일터의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고 있다
2022년 8월 31일
[동아시아]미얀마한국에서의 이주노동자 투쟁과 연대가 걸어온 길
2022년 7월 27일
[동아시아][읽을거리]노동🏂노동자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사축? 퇴사? 😡
위클리 사회운동 뉴스레터 제57호 | 2022년 7월 12일(화) 발송 2022년 7월 12일
[큐레이션]위클리 사회운동베트남 노동자계급의 저항은 어떤 변화를 이끌었는가
RSOA와 베트남 노동연구자 조 버클리의 인터뷰 ② 2022년 6월 24일
[동아시아]베트남베트남 노동운동의 성장은 매우 고무적이다
RSOA와 베트남 노동연구자 조 버클리의 인터뷰 ① 2022년 4월 7일
[동아시아]베트남“노학연대 경험이 내 활동의 견인추”
2021년 10월 8일
[읽을거리]인터뷰싱가포르 | 활동가가 된 버스 운전기사
2021년 10월 6일
[동아시아]싱가포르[동아시아와 사람] 20대의 또 다른 얼굴, 쉬리즈
2021년 9월 29일
[동아시아]중국대륙홍콩 | 직공맹에 대한 전방위적인 탄압으로 해산 절차 돌입
2021년 9월 24일
[동아시아]홍콩Towards an East Asian Solidarity From Below
2021년 7월 3일
[동아시아][LANG·語言 🌐]ENGLISHILO, 중국 정부에 모든 노동운동가 석방 촉구
2019년 7월 8일
[동아시아]중국대륙중국 경제성장의 어두운 이면과 노동자들의 절규
오늘날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린다. 세계의 주요한 공산품들이 “MADE IN CHINA” 라벨을 달고 생산된다. 이는 중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엔 농민공의 엄청난 희생이 있다. 2019년 3월 27일
[동아시아]중국대륙아래로부터의 동아시아 국제연대를 위한 제언
동아시아는 추락하는 자본주의를 구제할 한줄기 동아줄인가? 아니면 급기야 중동을 압도하는 화약고가 될 것인가? 한반도와 일본 등에서의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점증하는 동아시아 전쟁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자본주의 체제는 중국을 위시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오늘날 동아시아는 어떻게 규정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노동자운동·사회운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2019년 3월 19일
[동아시아]중국대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