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운동[tag]
대학생들이 EBS 빌딩 청소노동자들과 연대한 이유
연대의 가치를 몸소 느낄 수 있었기에 청소노동자들과의 만남은 특별했다. 2023년 8월 1일
[읽을거리]대학태국의 정치적 금기를 부숴버린 21살 활동가 룽
태국의 청년활동가들은 왕실개혁 등 사회 모순에 맞서 싸우면서 자신과 태국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다. 2023년 7월 16일
[동아시아]태국2023년 청년학생문화제를 앞두고 돌아보는 ‘노학연대’의 의미
우리에게 대학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은 학내 노동자와 학생의 권리는 충돌하지 않으며, 지금 대학 사회에 무엇보다 노학연대가 필요해야 한다고 말한다. 2023년 4월 26일
[읽을거리]사회운동대학의 위기 앞에 선 학생과 노동자, 무엇을 할 것인가
윤석열 정부의 파행적 고등교육정책은 대학의 위기를 학생과 대학 노동자에게 전가시킨다. 2023년 3월 23일
[읽을거리]사회운동다큐멘터리 『초토화작전』이 한국전쟁의 상흔을 재현하는 방식
다큐멘터리 『초토화 작전』을 통해 한국전쟁의 상흔과 다큐멘터리 재현 양식을 생각해본다. 2023년 3월 15일
[활동]시네토크[읽을거리]비평인터뷰 | 영상으로, 댄스로…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저항을 위해
오랜만에 찾아온 활동가 인터뷰! 빼갈은 사회운동으로부터 이어진 경험과 문제의식을 미디어운동과 퀴어운동의 장에서 확장해 나가고 있다. 2023년 2월 20일
[읽을거리]인터뷰어느 말레이시아 청년이 학생운동에 뛰어들게 된 이유
말레이시아 좌파 활동가 아나스 나짐 인터뷰 2023년 1월 30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중국 우루무치 화재 참사와 백지 시위
2022년 12월 2일
[동아시아]중국대륙노동자가 죽지 않는 일터를 위해 대학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서울대학교 청소노동자의 처우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에는 서울대 학교당국의 고질적인 이중적·차별적 고용구조가 있다 2022년 12월 1일
[읽을거리]노동민중가요의 역사와 오늘날의 민중가요
심장에서 굳센 노래 솟을 때까지 2022년 7월 7일
[활동]월례포럼중국 | 대학 캠퍼스 민주벽에서의 저항
민주벽(民主牆)은 그러한 대자보들이 부착된 하나의 정치적 공간이다. 언론자유가 제약되는 20세기 동아시아의 특수한 저항공간에서 대자보는 아래로부터의 사상해방 운동이었고, 대학 사회의 저항의 일부였다. 2022년 4월 17일
[동아시아]중국대륙“노학연대 경험이 내 활동의 견인추”
2021년 10월 8일
[읽을거리]인터뷰중국 | 26세의 노동연구자이자 활동가가 국가정권 전복 선동 혐의로 체포되다
2021년 9월 15일
[동아시아]중국대륙활동가들 | 12년차 반빈곤 활동가에게 워라밸을 물었다
2021년 8월 25일
[읽을거리]인터뷰2012년 4.30청년학생투쟁문화제와 예행연습
집회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 하나의 공간이다. 그곳에 모인 각각의 사람들에겐 제각각의 이야기가 있고,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가 자신의 이야기라고 느끼는 순간 희열과 감동을 느낀다. 그 공동의 것을 확인하는 과정 속에서 ‘해방'의 관계맺음이 이뤄진다. 따라서 굳어진 형식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 없이 새로운 형식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거쳐야만 ‘공동의 공간'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2012년 6월 19일
[읽을거리]사회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