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당[tag]
정의당, 기초체력부터 다시 쌓아야 한다
기득권 양당 구조가 공고한 한국 사회에서 기득권 양당과의 정치협상만으로는 결코 의회 권력을 쟁취할 다당제 구조를 만들 수 없다. 2023년 10월 25일
[읽을거리]정치진보정당 이대로 좋은가 – 정의당 재창당안을 중심으로
지난 6월 24일 정의당은 전국 위원회를 열어 <혁신 재창당 추진방안>을 확정하였다. 이 결정이 진보정당의 가치를 바로 세우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 2023년 6월 30일
[읽을거리]정치‘연합’ 없는 진보대연합당도, 퇴행적인 제3의길도 지지할 수 없다
위기의 시대에 좌파는 자신의 사회운동 기반을 강화하면서 기존의 문법을 뛰어넘는 시도를 펼쳐 정치 구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남한의 진보정당들은 그러한 도약을 감행하지 않았다. 2023년 4월 20일
[읽을거리]정치강원도에서 100살까지 사회운동 하고 싶다는 어느 활동가
활동가를 만나다 인터뷰 시리즈 이효성 ① 2023년 3월 16일
[읽을거리]인터뷰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② 전후 일본공산당의 오류
전후 일본공산당의 역사는 운동의 주체가 언제나 스스로를 혁신의 대상으로도 바라볼 수 있어야 함을, 스스로를 변화시키면서 만들어나가는 해방의 동력이 운동의 근간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인터뷰 | 이 활동가에게 자전거와 추리소설이 중요한 이유
김예찬 활동가 인터뷰② 2022년 12월 8일
[읽을거리]인터뷰ろうそく以後5年の後退、今後の社会運動は何をすべきか
2022년 10월 27일
[읽을거리]사회운동[LANG·語言 🌐]⽇本語20대 대선의 숨은 패배자들 = 문재인, 이준석, 어용지식인, 길 잃은 사회운동
윤석열을 낳은 일등 공신은 권영세도 장제원도 아닌 조국과 민주당의 86세대 정치 엘리트들이다. 이들은 젊은 날의 학생운동 경력을 훈장처럼 내세우면서 거들먹거릴 뿐, 실질적으로 자신들 역시 국민의힘과 더불어 사회 엘리트 계급이라는 사실을 성공적인 부동산·금융 투기로 보여주었다. 2022년 3월 11일
[읽을거리]정치사회운동촛불 이후 5년의 후퇴, 앞으로 사회운동은 무엇을 해야 할까
2016-2017년 촛불 항쟁에 대한 운동진영의 논의와 문재인 정권 5년 간 사회운동 및 대선 시기 움직임들을 돌아보고, 이번 대선 이후 사회운동이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2022년 2월 23일
[읽을거리]사회운동2000년 이후 진보정당과 사회운동의 선거 대응
2022년 2월 8일
[읽을거리]정치류호정 의원의 ‘민주노총 비판’을 비판한다
2021년 9월 14일
[읽을거리]정치역사 속 진보정당들의 실패에서 배우자——『세계 진보정당 운동사』 서평
전 세계 진보정당 역사의 실패와 과정, 원인에서 교훈을 도출하고, 한국의 진보정치 작동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상상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2020년 7월 10일
[읽을거리]비평정의당의 ‘정의로운 복지국가’ 재검토해야
정의당은 기존 정치 세력과 완전히 구별되는 이념을 채택해야 한다. 자본주의 폐해를 지적하고, 정의와 복지 프레임을 뛰어넘는 이념으로서 분배만이 아니라, 소비와 생산으로 파고드는 급진적 평등주의로 당을 혁신해야 한다. 2020년 6월 7일
[읽을거리]정치정의당, 각자도생 실리주의로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까?
방향 없는 실리주의는 진보정당이 설 자리를 만들어주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 누적되고 있을 때 역사적 과정은 쉽사리 망각되고, 구조적인 공백에 대해 사유하는 것을 방해받는다. 결과적으로 이는 ‘흥행’ 노선에 올라타 덩달아 춤 추는 것 외의 선택지를 피하기 어렵게 할 뿐이다. 2020년 1월 18일
[읽을거리]정치지역 없는 비례강화, 무너지는 진보정치
정의당의 ‘비례 올인’은 지역 위축을 낳는다. 2020년 1월 16일
[읽을거리]정치심상정은 ‘집토끼’를 잡았는가? 정의당의 ‘산토끼’는 누구이어야 하나?
2019년 11월 2일
[읽을거리]정치개방형 경선제, 대중참여론과 활용론 모두 틀렸다
2019년 11월 2일
[읽을거리]정치호주 ‘기후 선거’의 패배를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
2019년 10월 22일
[읽을거리]기후정의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