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주의[tag]
녹색 성장과 탄소식민주의의 모순 | '재앙의 지리학' 서평
우리에게 닥친 위험에 잘 대처하려고 해도 왜 이렇게 잘 안 되는 걸까? 발언권의 불평등 때문이다. 견딜 수 없는 날씨를 그대로 감당하는 사람들은 자기 몸을 데우거나 식힐 돈조차 없는 사람들이고, 이들의 이야기는 알려지지 않는다. 2024년 11월 15일
[읽을거리]기후정의[활동]책읽기모임조선인 여공의 노래 | 그곳에 모순과 억압에 맞서 싸운 이들이 있었다
[영화평] 이원식 감독의 다큐멘터리 <조선인 여공의 노래> 2024년 9월 15일
[읽을거리]비평신장위구르자치구 마을 이름 변경은 21세기의 식민주의이다
2000년대 이래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 주민들의 일상적인 종교·문화 관습과 정체성 표현을 폭력적 극단주의와 결부시켜왔다. 2024년 8월 9일
[동아시아]중국대륙우경화에 맞선 인도네시아 사회운동의 투쟁
인도네시아의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은 이러한 정치적 보수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지난 인도네시아 현대사를 돌아봐야 한다. 2024년 8월 4일
[동아시아]인도네시아우리의 미래는 공공이다 | 에너지 민주주의 운동 선언
에너지 민주주의는 글로벌 북반구의 억압적인 지배적 힘으로부터 집합적 해방을 요구하고 있다. 2024년 4월 16일
[읽을거리]사회운동쩐득타오, 베트남의 위대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현상학자라기엔 너무나 마르크스주의적이었으며, 마르크스주의자이기엔 너무나 현상학적이었다. 스탈린주의자들이 보기엔 정통적이지 못했으나, 스탈린주의에 맞선 좌익 반대파들에겐 과도하게 정통적으로 비쳐졌다. 강단 철학자들에겐 너무 투사적이었지만, 정치적 투사들에겐 너무나 철학자로 보였다. 2024년 2월 10일
[동아시아]베트남끝나지 않은 학살과 점령,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방법
팔레스타인 민중은 저항을 멈출 것인가? 전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멈추지 않고 팔레스타인과 연대해야 한다. 2023년 12월 7일
[읽을거리]반전평화11월 4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학살 중단과 점령 철수를 외치다
지난 11월 4일 낮,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인근 무교동사거리에서 500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우리는 이스라엘의 학살 중단과 군사점령 철수를 외쳤다. 2023년 11월 6일
[읽을거리]반전평화아인슈타인의 악몽 | 이스라엘의 파시스트 정치인들
리쿠드의 부패한 초민족주의 쇼비니스트들이 가자지구에서 대량학살을 주도하고 있다. 그것은 1940년대 후반 아인슈타인과 한나 아렌트 등 유대인 지식인들이 이스라엘 상황에 대해 우려했던 그대로다. 2023년 11월 5일
[읽을거리]국제가자지구 집단학살과 이스라엘 파시즘을 둘러싼 논쟁
이스라엘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극우 정부에 대한 서구의 비판자들은 종종 반유대주의로 비난받지만, 이스라엘인 좌파들은 수년 동안 이스라엘이 파시즘에 빠졌다고 비난해 왔다. 이 글에서 알베르토 토스카노(Alberto Toscano)는 파시즘이 이스라엘의 식민지 프로젝트 논리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2023년 11월 3일
[읽을거리]국제지난 백년 철도 노동자들의 투쟁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지난 100여 년 철도노동자들이 보여온 행동의 역사는 이 땅에 진정한 민주주의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동자들이 아래로부터 단결하고 자신의 힘을 확인해나갈 때, 나아가 함께 투쟁해야 한다는 점을 증명한다. 2023년 9월 6일
[읽을거리]노동강제징용 3자변제와 미래기금에 대한 일본 시민사회의 반응
일본 언론과 시민사회는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강제징용 해법’과 한일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2023년 4월 12일
[동아시아]일본태국은 정말 식민지를 경험하지 않은 국가인가?
오늘날 태국 사회 혹은 사회운동과 접속하려면 태국 현대사의 굴곡을 거슬러 올라가 이해해야 한다. 2022년 4월 22일
[동아시아]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