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tag]
중국 민간좌파, 바리케이드의 어느 편에 설 것인가?
랄프 루커스는 '중국의 좌파'라 명명된 자신의 저작을 통해 공식화된 중국 국가좌파와 대별되는 중국 내 피억압자들의 풀뿌리 운동 역사를 당 밖 좌파의 역사로 조명해야 한다고 말한다. 2023년 8월 14일
[동아시아]중국대륙역사기행 | 해방 이후 사회운동의 망각된 계보를 찾아서
지난 10월 28-30일 2박3일 동안 플랫폼c가 주최한 지리산 역사기행에 함께 했다. 이번 역사기행은 2020년 가을 여순항쟁 역사기행에 이은 두 번째다. 2022년 11월 16일
[활동]역사기행21세기 사회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022년 10월 12일
[읽을거리]사회운동찟 푸미삭과 태국의 정치적 맥락에서 그의 이미지
이 글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기마다 달라진 태국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며 군부정권, 공산주의 조직, 학계, 활동가, 지방정부가 어떻게 찟 푸미삭의 이미지를 구축해왔는지 살펴본다. 2022년 3월 30일
[동아시아]태국촛불 이후 5년의 후퇴, 앞으로 사회운동은 무엇을 해야 할까
2016-2017년 촛불 항쟁에 대한 운동진영의 논의와 문재인 정권 5년 간 사회운동 및 대선 시기 움직임들을 돌아보고, 이번 대선 이후 사회운동이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2022년 2월 23일
[읽을거리]사회운동서평 | 왜 여성은 사회주의사회에서 더 나은 섹스를 하는가
책의 저자는 “(이전 사회주의의) 그 모든 실패 속에 소중한 것들이 있었다”며 “이제 우리가 그것들을 구할 때다.”라는 결론으로 책을 마무리 짓는다. 비록 동유럽 사회주의가 실패했더라도 역사적 예시들로부터 긍정적인 유산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도 유용한 자원이다. 2022년 2월 7일
[읽을거리]비평[활동]페미니즘 공부모임라틴아메리카 좌파에 대한 미국 민주적사회주의자 내 논쟁
2021년 10월 11일
[읽을거리]국제발리바르 : 공산주의는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입니다
공산주의는 단지 소유의 형태나 생산양식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이다. 현실에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상호보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2020년 8월 30일
[읽을거리]정치역사 속 진보정당들의 실패에서 배우자——『세계 진보정당 운동사』 서평
전 세계 진보정당 역사의 실패와 과정, 원인에서 교훈을 도출하고, 한국의 진보정치 작동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상상력을 키우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2020년 7월 10일
[읽을거리]비평왜 지금 생태사회주의인가 : 사사키 류지×사이토 코헤이 『마르크스와 생태주의』 대담
2020년 6월 15일
[동아시아]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