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tag]
인터뷰 | 베네수엘라가 미국의 침공 시도에 맞서 끝까지 싸우려는 이유
베네수엘라는 외부의 강요에 굴복하지 않고 자율적인 길을 걷기 위해 엄청난 대가를 치러왔습니다. 우리는 평화롭고 연대적이었던 우리 국민들이 무의미한 포위 공격 속에서 부당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15일
[읽을거리]국제인터뷰 | 싱가포르의 불평등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23살 활동가
“글로벌 식민자본주의 하 국제적인 투쟁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항상 국경을 넘어 서로 연대해야 합니다.” 2025년 4월 9일
[동아시아]싱가포르말레이시아 활동가 인터뷰 ② | 민주화운동의 득과 실, 그리고 정치 모순
”한꺼번에 모든 것을 얻을 수는 없습니다. 때로는 승리하기도, 때로는 패배하기도, 어떤 개혁은 다시 후퇴하기도 합니다.“ 2024년 5월 14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한둥팡 인터뷰 | 노동권 강화는 강력한 노동운동 창출에 달려있다
천안문항쟁의 노동자 대표였던 한둥팡은 공회 가입 전략이 여전히 유의미하다고 말한다. 2024년 2월 28일
[동아시아]중국대륙말레이시아 활동가 인터뷰 ① | 식민지 경험과 정치개혁 운동의 의의
사실 영국이 말레이시아에 민주주의를 이식했을 때, 이들은 말하자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사람들에게 정치를 맡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국주의나 자본주의적 이해관계에 맞서지 않을 만한 사람들 말이죠. 2024년 2월 6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인터뷰 | 누구나 활동가로서의 미래를 그릴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육아라는 게 개인적인 경험에만 머물면 내 아이만 잘 되기를 바라게 된단 말이죠.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처럼 사회적 육아에 대해 고민하고, 내 아이뿐만 아니라 모든 아이들이 행복했을 때 내 아이도 행복하다는 기본적 전제에 동의하는 사람들과 함께 육아하는 기쁨이 있었어요.” 2023년 7월 15일
[읽을거리]인터뷰인터뷰 | 카메라 뒤 우리가 놓친 것들에 주목하는 활동가
활동가를 만나다 진재연 인터뷰 ① 2023년 6월 20일
[읽을거리]인터뷰강원도에서 100살까지 사회운동 하고 싶다는 어느 활동가
활동가를 만나다 인터뷰 시리즈 이효성 ① 2023년 3월 16일
[읽을거리]인터뷰인터뷰 | 영상으로, 댄스로…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저항을 위해
오랜만에 찾아온 활동가 인터뷰! 빼갈은 사회운동으로부터 이어진 경험과 문제의식을 미디어운동과 퀴어운동의 장에서 확장해 나가고 있다. 2023년 2월 20일
[읽을거리]인터뷰어느 말레이시아 청년이 학생운동에 뛰어들게 된 이유
말레이시아 좌파 활동가 아나스 나짐 인터뷰 2023년 1월 30일
[동아시아]말레이시아인터뷰 | 이 활동가에게 자전거와 추리소설이 중요한 이유
김예찬 활동가 인터뷰② 2022년 12월 8일
[읽을거리]인터뷰권력의 발자취를 추적하는 탐정의 정보공개운동 이야기
김예찬 활동가 인터뷰① 2022년 9월 30일
[읽을거리]인터뷰인터뷰 | 개방적이고 함께 만드는 사회운동으로 재구성하기
“활동하기 힘든 상황 때문에 활동을 하고 싶어도 못해서 같이 하려고 오는 분들이 많은데요. 예컨대 학내에서 활동에 대한 고민을 같이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거나, 수도권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이어서 활동하지 못하는 분들이요. 우리가 새로운 활동가 재생산 경로를 찾고 있는 입장에서 이 분들과 어떻게 공통의 경험을 만들어 갈지, 어떻게 활동과 친밀해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생겼어요. 좋은 경험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이후에도 전업 활동가가 되거나 운동과 가까운 삶을 살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주고 싶어요.“ 2022년 6월 22일
[읽을거리]인터뷰인터뷰 | 청주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걔네’의 출범과 지방선거
청주페미니스트연대 인터뷰① 2022년 5월 10일
[읽을거리]인터뷰베트남 노동운동의 성장은 매우 고무적이다
RSOA와 베트남 노동연구자 조 버클리의 인터뷰 ① 2022년 4월 7일
[동아시아]베트남산수동 ‘갑부청년’의 지역운동에 대한 복잡한 고민
활동가 인터뷰 시즌1 여섯번째 인터뷰! 광주 산수동에 사는 김설 활동가와 지역운동과 사회운동, 중앙과 지역의 위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2022년 1월 31일
[읽을거리]인터뷰지역내가 나를 ‘활동가’로 부르게 됐을 때
2021년 11월 12일
지역사회운동노조를 표방하는 희망연대노조에서 배운 것
2021년 10월 14일
[읽을거리]인터뷰“노학연대 경험이 내 활동의 견인추”
2021년 10월 8일
[읽을거리]인터뷰내가 사회복지사가 아니라, 반빈곤 운동가가 된 이유
2021년 9월 6일
[읽을거리]인터뷰활동가들 | 12년차 반빈곤 활동가에게 워라밸을 물었다
2021년 8월 25일
[읽을거리]인터뷰발리바르 : 공산주의는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입니다
공산주의는 단지 소유의 형태나 생산양식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이다. 현실에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상호보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2020년 8월 30일
[읽을거리]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