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tag]
인터뷰 | 베네수엘라가 미국의 침공 시도에 맞서 끝까지 싸우려는 이유
베네수엘라는 외부의 강요에 굴복하지 않고 자율적인 길을 걷기 위해 엄청난 대가를 치러왔습니다. 우리는 평화롭고 연대적이었던 우리 국민들이 무의미한 포위 공격 속에서 부당한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15일
[읽을거리]국제볼리바르 혁명 이후 딜레마와 '가장 어두운 날들' | 위기의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침공에 대한 반대는, 이러한 제국주의적 수탈이 다른 곳에서 침공이라는 극도로 폭력적이고 부당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에 맞서 싸우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2025년 9월 13일
[읽을거리]국제트럼프의 관세 인상 협박을 어떻게 볼 것인가? 어떻게 맞설 것인가?
무역분쟁이 유발하는 국가주의에서 벗어나, 노동권·공공성 확장 위한 투쟁을 세계화하자! 2025년 8월 3일
[읽을거리]경제미국 | 조란 맘다니, 자본주의의 본거지 뉴욕에 민주사회주의의 깃발을 꽂다
조란 맘다니는 누구이고, 무엇을 대변하는가? 몇 달 전만 해도 지지율 1퍼센트에 불과했던 그가 맨하튼의 부유층이 장악하고 있던 뉴욕 정계를 뒤흔든 젊은 정치인으로 등극할 수 있었는 이유는 무엇인가? 2025년 7월 12일
[읽을거리]국제책 | 균열 속 가능성: 2025 정치경제 정세노트
균열의 시대에,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다시 길을 낼 수 있을까? 2025년 5월 10일
유발 하라리와 자유주의적 시온주의를 비판한다
자유주의적 시온주의는 평화와 이성의 얼굴을 빌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공존할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지만, 우리는 식민지배와 집단학살의 토대인 체제 자체에 맞서야 한다. 2025년 4월 30일
[읽을거리]반전평화모두의 평화를 위해 윤석열과 전쟁광들에 맞서 함께 싸우자 | 천만의 대화 '팔레스타인' 공론장
국익으로 포장된 무기산업. 전쟁연습을 멈추고, 군비를 축소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평화를 바라는 사람들의 국제적 연대 운동이 광범위하게 이뤄져야 한다. 2025년 3월 15일
[읽을거리]반전평화'저항의축'은 미국·이스라엘 '적대 정책'의 산물 … 이스라엘은 학살과 확전 중단하라
팔레스타인과 중동전역을 고통으로 몰고가는 이스라엘의 확전은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 2024년 10월 13일
[읽을거리]국제팔레스타인의 해방과 정치적 생명의 평등을 위하여
팔레스타인은 생명의 평등이란 정치적 평등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가장 치열한 투쟁의 장이다. 2024년 10월 2일
[읽을거리]반전평화평화와 일상을 지키는 오키나와 평화행진, 2천300여 명 참가
지난 5월 17일 오키나와 기노완에서는 약 2,300명이 참가한 가운데 평화행진이 진행됐다. 이날 행진에는 플랫폼c 활동가를 비롯한 27명의 한국인들도 함께 했다. 2024년 6월 4일
[동아시아]오키나와중국의 외교노선이 중동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까
평화는 평범한 사람들의 행동에 달렸다. 2024년 5월 10일
[읽을거리]반전평화죽음의 장사치들… 방위산업 종식을 위한 아덱스 저항행동
동북아에서 가장 큰 방위산업 전시회 아덱스(ADEX)의 죽음 장사를 고발하다. 2023년 11월 30일
[읽을거리]반전평화콜센터 산업의 착취에 맞서 싸우는 필리핀과 미국의 노동자들
필리핀과 미국, 그리고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콜센터 노동자들은 연결되어 있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필리핀안전한 임신중지는 전 세계 모두를 위한 소중한 권리이다
<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 출범을 맞아 2022년 8월 10일
[읽을거리]페미니즘라틴아메리카 좌파에 대한 미국 민주적사회주의자 내 논쟁
2021년 10월 11일
[읽을거리]국제남중국해 분쟁, 바다 건너 불구경 해도 되나?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상 대만해협과 남중국해의 긴장은 우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2020년 10월 8일
정의로운 코로나19 구제 및 부양책을 위한 5가지 원칙
미국의 진보적 사회운동 단체들이 요구하는 구제와 경기부양의 다섯 가지 원칙 2020년 3월 27일
[읽을거리]국제미국의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에 대한 비판적 분석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홍콩 인권 및 민주주의 법안」 2019년 10월 16일
[동아시아]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