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tag]
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③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실패가 남긴 과제
고야마 히로타케 저, 한상구·조경란 역, 『일본 마르크스주의사 개설』 서평 2023년 1월 26일
[동아시아]일본찟 푸미삭과 태국의 정치적 맥락에서 그의 이미지
이 글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기마다 달라진 태국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며 군부정권, 공산주의 조직, 학계, 활동가, 지방정부가 어떻게 찟 푸미삭의 이미지를 구축해왔는지 살펴본다. 2022년 3월 30일
[동아시아]태국발리바르 : 공산주의는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입니다
공산주의는 단지 소유의 형태나 생산양식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다양한 집합적 주체성이다. 현실에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상호보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2020년 8월 30일
[읽을거리]정치왜 지금 생태사회주의인가 : 사사키 류지×사이토 코헤이 『마르크스와 생태주의』 대담
2020년 6월 15일
[동아시아]일본보다 급진적인 홍콩을 위한 상상력
튄문공원(屯門公園) 시위에서 나타난 본토주의에 대한 고찰 2019년 12월 12일
[동아시아]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