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tag]
일본 사회운동 논쟁 | ① 비서구의 자본주의 발전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고야마 히로타케의 『일본 자본주의 논쟁사』는 전전과 전후의 논쟁사를 매우 소상하게 정리한다. 하지만 1953년 당시 저자는 일본공산당의 스탈린주의적 전통에 천착해 있을 시기이기 때문에 독서에 주의가 필요하다. 2022년 12월 5일
[동아시아]일본이주노동자의 무덤이 된 카타르 월드컵과 시장화 된 축구
탈정치화된 축구에 대한 맹목적이고 비현실적인 강박에 사로잡혀 침묵하는 것은 FIFA의 고위급 퇴물들에 놀아나는 것과 다르지 않다 2022년 11월 24일
[읽을거리]국제21세기 사회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022년 10월 12일
[읽을거리]사회운동기시다 후미오의 ‘새로운 자본주의’는 없다
2022년 9월 1일
[동아시아]일본气候抗议并不是要敦促我们采取更贫困的生活方式
2022년 4월 22일
[LANG·語言 🌐]中文[읽을거리]기후정의촛불 이후 5년의 후퇴, 앞으로 사회운동은 무엇을 해야 할까
2016-2017년 촛불 항쟁에 대한 운동진영의 논의와 문재인 정권 5년 간 사회운동 및 대선 시기 움직임들을 돌아보고, 이번 대선 이후 사회운동이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2022년 2월 23일
[읽을거리]사회운동자본주의가 낳은 기후위기의 해결책은 대중운동 - 『미래가 불타고 있다』 서평
기후위기를 맞이한 우리 사회는 기후위기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있는가? 기성 정치인들과 자본이 제시하는 대안은 과연 얼마나 힘을 가지고 있으며,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나오미 클라인의 책 『미래가 불타고 있다』는 목전에 닥친 기후위기를 멈추기 위해 자본주의 시스템이 멈추어야 하고, 개인의 일상을 넘어선 대중운동으로 정치와 경제가 바뀌어야 한다고 답한다. 2021년 5월 21일
[읽을거리]비평『레이디 크레딧』 - 성매매에 기생하는 금융자본주의의 추악한 얼굴을 폭로하다
2021년 5월 1일
[읽을거리]비평2019년 홍콩은 어떤 모순 속에서 어떻게 싸워왔는가?
홍콩 항쟁을 둘러싼 모순과 두 자본주의의 충돌 2020년 1월 3일
[동아시아]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