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tag]
오키나와 | 동아시아평화연대활동과 함께한 값진 휴가
2023년 7월 16일
[동아시아]오키나와危機の北東アジア、沖縄·韓国反戦平和連帯の道を問う
2023년 5월 10일
[LANG·語言 🌐]⽇本語베트남 전쟁 시기 일본의 반전평화운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960~70년대 일본 사회는 반전평화운동의 물결로 뜨겁게 불타올랐다. 우리는 이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2023년 4월 10일
[동아시아]일본위기의 동북아, 오키나와-한국 반전평화연대의 길을 묻다
지난 3월 6일 플랫폼c에서 오키나와에서 온 반전평화 활동가 카미야 미유키와의 간담회가 열렸다. 2023년 3월 28일
[동아시아]오키나와[활동]동아시아 공부모임1920년대 형평사 운동과 부락민 해방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들
1923년 진주에서 시작한 형평사 운동은 1년 전인 1922년 일본의 수평사 운동과 연결되어 있다. 불평등에 맞선 이 운동의 역사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있다. 2023년 3월 2일
[동아시아]일본전쟁은 그만 | ① 대만이 전쟁터가 된다면 오키나와도 안전하지 않다
미국과 중국이 대만에 ‘유사사태’를 만들고 오키나와가 그 전쟁터가 되고 만다면, 그 전쟁은 과연 오키나와에만 머무를까? 2022년 12월 31일
[동아시아]일본일본 시민사회,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평화 네트워크 구축 호소
2022년 9월 4일
[동아시아]일본“오키나와를 평화의 허브로 삼아 아시아를 연결하자”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한 후 1952년에 열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미군은 오키나와를 통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1972년, 오키나와는 일본에 반환되었고, 2022년인 올해 5월로 반환 50주년을 맞이했다. 그러나 현재 일본 국토의 0.6%에 불과한 오키나와 땅에 주둔한 미군 기지는 일본 전체 기지의 70%를 차지하여 50년전보다(59%) 오히려 늘어났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오키나와의 정치적 군사적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 2022년 6월 30일
[동아시아]일본[읽을거리]반전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