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월 28일, 대구 성서공단의 한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 25살 베트남 청년 뚜안 님이 정부 합동단속을 피해 숨던 중 추락해 사망했다. 그는 유학생으로 한국에 와 계명문화대 어학당 과정을 거쳐 학부를 졸업하고, 올해 2월 계명대학교 관광경영학과까지 끝낸 평범하고 성실한 청년이었다. 그러나 ‘더 나은 삶을 위한 유학’이라는 그의 선택은 한국의 이주민 단속 체계 아래 비극으로 끝났다.
그가 친구에게 남긴 마지막 메시지는 “무섭다. 너무 무섭다. 숨쉬기가 힘들어…”였다. APEC 성공 개최를 명분으로 한 강압적·폭력적 단속이 3시간 넘게 이어지는 동안, 뚜안은 몸을 펼 수도 숨을 제대로 쉴 수도 없는 좁은 공간에 숨어 있어야 했다. 생존을 위협하는 공포 속에서 그는 결국 3층 아래로 추락했다.
뚜안의 죽음은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구조적으로 만들어낸 비극이다. 한국의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재정난을 겪는 가운데 유학생을 적극 유치해 왔다. 특히 비수도권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비중은 2024년 약 44%에 달한다. 올해 한국 대학에 다니는 유학생 수는 25만 3천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정작 졸업 후 취업할 수 있는 길은 좁고, 구직비자(D-10)로 생활을 이어가기도 쉽지 않다. 현실적으로 생계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일자리 대부분은 제조업·물류·농업 등 단기 노동이며, 이 영역은 이미 오랜 기간 미등록 이주노동자와 파견업체에 의존하는 착취 구조가 고착돼 있다.
정부는 원청의 불법파견·중간착취 구조를 엄정히 단속하는 대신, 이주노동자를 ‘불법’으로 규정해 추적·단속·추방해 왔다. 구조적 착취는 방치되고, 오히려 그 구조 속에서 일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가장 크게 처벌받는 구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