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사회운동 최전선을 지키던 진보정당의 해산

홍콩 사회운동 최전선을 지키던 진보정당의 해산

“ 어둠을 두려워하지 말고, 무의미함 앞에서 주저하지 맙시다. 홍콩의 모든 어두운 구석에서, 우리는 확신으로 빛나기를 바랍니다.“

2025년 6월 30일

[동아시아]홍콩동아시아, 홍콩, 진보정당, 탄압, 홍콩항쟁

사회민주연선 해산

지난 6월 29일 일요일, 홍콩의 좌파정당 사회민주연선(이하 ‘사민련’, 社會民主連線, League of Social Democrats)이 해산을 공식 발표했다. 사민련은 성명을 통해 “내년이 20주년이 되는 해다. 하지만 우리는 그 날을 보지 못하고 해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수많은 민주화 단체들이 문을 닫은 가운데, 홍콩 내 마지막 남은 주요 야당 중 하나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셈이다.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이후 홍콩의 정치적 환경은 급변했다. 이 법은 “분리주의·전복·테러·외세와의 결탁”이란 항목을 통해 일련의 저항들을 범죄화했고, 이를 체제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억압하는 데 활용해 왔다. 이로 인해 수많은 활동가들이 체포되거나 투옥됐고, 시민사회단체들은 줄줄이 해산했다.

2021년에는 선거제도가 개편되어, “애국자”만이 입법회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실상 반대 진영의 출마를 봉쇄했다. 이로 인해 사회민주연선은 물론, 다른 민주파 정당들도 의회에서 의석을 잃고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했다. 이러한 정치적 탄압은 대중 정서를 극심하게 악화시켰고, 단체들은 극심한 재정난을 겪었다. 사민련 외에도 주요 야당 공민당(Civic Party)이 2024년 3월에 해산했으며, 오랜 기간 가장 큰 야당이었던 민주당(Democratic Party)도 2025년 2월 해산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사민련 해산은 홍콩에서 세 번째로 왕성하게 활동했던 민주파 주요 정당의 해산이다.

과거 사회민주연선은 과감한 거리 시위와 민주주의를 위한 왕성한 활동으로 명성을 떨쳤다. 하지만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소규모 시위조차 경찰의 삼엄한 감시를 받았으며, 최근에는 거리 모금 활동에 대한 벌금 부과 등 지속적인 압박을 받아왔다. 사민련 해산은 홍콩 사회운동이 극심하게 움츠려들고, 민주파의 정치적 공간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이는 홍콩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보장했던 ‘일국양제(一國兩制)’ 원칙이 거의 무력화되었음을 가리킨다.

사민련의 대표적 인사 렁쿽훙은 입법위원으로 취임 선서를 수정해 외쳤다.
사민련의 대표적 인사 렁쿽훙은 입법위원으로 취임 선서를 수정해 외쳤다.

민주와 평등 위한 투쟁의 역사

사회민주연선은 2006년 10월 1일 당시 홍콩 민주파 내에서 급진적이고 직접적인 행동주의를 지향하던 세력들이 모여 결성됐다. 특히 기존 민주당에서 탈당한 일부 진보적 인사들과 트로츠키주의 조직에서 이탈한 좌파 활동가들이 주축이 됐다. ‘민주사회주의’와 ‘좌익 포퓰리즘’ 성격을 가졌으며, ‘민주주의 확대’를 핵심 이념으로 삼았다. 이는 홍콩 민주파 정당 중에서도 가장 좌파적인 색채를 띠는 것으로 평가됐다.

사민련은 복지 정책 확대, 노동권의 강화, 불평등 해소 등을 강조했고, 홍콩이라는 글로벌 무역도시에서 가장 소외되고 빈곤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대중의 직접적인 투쟁 조직화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려 했다. 거리 시위와 대규모 집회를 통해 대중의 지지를 얻는 데 적극적이었다. 홍콩의 금융 허브 지위가 강화되는 과정에서 중국 정부가 추진한 친시장 정책이 홍콩 자본가와 다국적기업에게만 혜택을 주고 노동자와 서민들에게는 소외를 가져온다고 비판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사회민주연선은 홍콩 민주화 운동의 최전선에서 다양한 시위와 투쟁을 주도했다. 특히 '장발(Long hair)'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렁궉훙(Leung Kwok-Hung, 梁國雄) 전 당 주석은 이 당의 상징적인 인물로, 과감한 행동과 직설적인 발언으로 유명했다.

다른 민주파 정당보다 거리 시위와 대중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과 민주 개혁 요구를 강하게 표출하며, 종종 경찰과의 충돌도 불사했다. 무엇보다 과거 홍콩특별행정구 정부의 수장인 행정장관과 입법회 의원 전원의 보통선거 실시를 일관되게 주장하며 관련 시위와 캠페인을 조직했다. 홍콩에서는 매년 7월 1일 반환기념일과 톈안먼 사태 추모 집회 등이 열리는데, 이러한 시기마다 대규모 시위를 조직하고 참여하여 홍콩의 민주주의와 자유를 옹호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사민련이 홍콩에서 정부와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것은 ‘선거 거부’로 인한 의원직 박탈 사건 때다. 렁궉훙 전 주석을 포함한 민주파 의원들이 의원 당선 이후 ‘애국 선서’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고등법원으로부터 의원직을 박탈 결정을 당했을 때, 사회민주연선은 이에 강력히 항의하며 법정 투쟁과 대중 집회를 이어갔다. 이는 중국 정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려는 그들의 의지를 보여준다.

지미 샴
지미 샴

2019년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 운동에서 사회민주연선은 당연히 조례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취했다. 그들은 이 조례가 홍콩의 사법 독립성을 침해하고 중국 본토의 인권 탄압에 홍콩 시민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고 보았으며, 조례의 즉각 철회를 주장했다. 민간인권진선(民間人權進線, Civil Human Rights Front)의 의장이자 사민련 소속이었던 지미 샴(Jimmy Sham)이 이 운동을 적극적으로 주도하며 큰 존재감을 보였다.

사민련은 기본적으로 ‘일국양제’ 원칙 하에서의 홍콩의 고도 자치와 민주화를 추구했다. 따라서 명시적으로 ‘홍콩 독립’을 주장하는 독립파와는 노선이 달랐다. 사민련은 중국과의 완전한 분리보다는 홍콩 내에서의 민주주의와 인권 보장, 불평등 해소, 그리고 진정한 보통선거 실시를 목표로 했다.

사회민주연선은 중국공산당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홍콩에 대한 압력에는 강력히 반대했지만, 홍콩 내의 일부 극우 민족주의 경향과 다르게 중국대륙 인민 전체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중국 노동운동에도 연대하는 입장을 보였으며, 1989년 톈안먼 사건(학살) 추모 집회를 꾸준히 개최하는 등 중국 인민의 인권과 자유를 옹호하는 활동을 이어갔다.

물론 홍콩 민주파 진영 내에는 사회민주연선과 같은 좌파적 성향 외에도 자유주의적 성향의 정당들이 존재했다. 사민련은 이들과 민주주의와 인권 수호라는 목표를 위해 협력했다.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경제 정책이나 활동 방식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지만, 민주주의와 자치를 지키는 데는 한목소리를 냈다. 2019년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 운동에서도 이러한 광범위한 연대가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사민련과 같은 좌파 활동가 집단의 적극적 참여가 있었다.

하지만 선거제도 개편으로 인해 사민련은 입법회에서 의석을 잃고 원외 정당으로 전락했다. 다른 민주파 정당들도 해산하거나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연대할 세력도 줄어들었고, 사회민주연선은 더욱 고립되는 상황에 처했다. 결정적으로 2020년 7월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수많은 민주화 단체와 정당이 해산하고 활동가들이 체포되거나 망명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 사민련이 해체하지 않고 활동을 지속하려 했던 가장 큰 이유는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로서의 역할과 불굴의 저항 정신 때문이다. 존속 자체가 홍콩의 자유와 민주주의가 완전히 소멸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사회민주연선은 뿌리 깊은 좌파적 신념과 불굴의 저항 의지를 가진 활동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들은 억압 속에서도 사회 정의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을 포기하지 않는 것을 자신들의 사명으로 여겼다. 비록 활동이 제약되었지만, 그들은 여전히 홍콩 시민들, 특히 소외된 계층과의 연대를 통해 목소리를 내고자 했다. 거리 모금 활동 등을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존재감을 유지하려 했다.

상술했듯,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사민련은 극심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 분열,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을 범죄화하며,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사민련의 많은 활동이 ‘국가안보 위협’으로 간주될 위험에 처했다. 집회나 시위는 거의 불가능해졌고, 온라인 활동도 엄격한 감시를 받았다. 당의 상징적 인물인 렁궉훙 전 주석을 비롯한 많은 활동가들이 국가보안법 또는 다른 혐의로 체포됐다. 이는 당의 리더십과 역량을 심각하게 약화시켰다. 또, 정치적 탄압과 시민 사회 위축으로 인해 후원금이 줄어들고, 당원들의 활동도 위축되면서 극심한 재정난에 시달렸다. 거리 모금 활동마저 경찰의 통제와 벌금 부과로 어려움을 겪었다.

홍콩 당국은 사민련에 대해 지속적으로 해산을 압박했으며, 해산하지 않을 경우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보냈다. 이는 활동가들에게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사민련은 끈질기게 버텨왔지만, 결국 외부의 강력한 압력과 내부적 한계로 인해 해산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반환 이후 홍콩 좌파

반환 전후 사민련을 비롯한 홍콩 좌파들은 홍콩이 전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로 성장하면서 심화된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하고, 노동자 및 서민층의 권익을 옹호하며 사회복지 확대를 주장했다. 이는 홍콩 민주화 운동이 단순히 정치적 자유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정의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민주파 정당들이 의회 정치에 집중할 때, 사민련은 거리 시위와 대중 운동을 통해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정부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는 홍콩 사회운동의 역동성을 고양시켰다.

사민련은 한국 활동가들과의 교류에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사민련의 올드 멤버들은 1980년대 한국 노동자대투쟁 때부터 한국 사회운동을 주목했고, 종종 연대의 손을 내밀었다. 2019년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운동 당시에는 한국에서 방문한 활동가들을 적극 환대하기도 했다.

또한 사민련은 중국공산당과 홍콩 정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옹호하며 타협 없는 저항을 이어갔다. 이는 시민들에게 용기를 주고, 국제 사회에 홍콩 정세의 심각성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서구식 자유주의가 주를 이루던 홍콩 민주화 운동 내에서 사회주의적, 좌파적 관점을 제시하며 운동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이는 홍콩의 정치적 변화가 단순히 '자유 대 통제'의 이분법을 넘어선 복합적인 사회적, 경제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홍콩의 좌파 운동은 국제 사회 좌파들과 연대하며 홍콩의 민주주의 투쟁을 국제적인 인권 문제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사회민주연선의 해산으로 홍콩 좌파 운동의 한 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투쟁 유산은 홍콩 사회운동사에 중요한 페이지로 기록될 것이다.

오늘날 사회운동은 국가보안법과 선거 제도 개편 등으로 인해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많은 활동가들이 감옥에 갇히고 단체들이 해산했으며, 공개적인 저항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콩 좌파은 희망을 포기할 수 없다.

인류의 지난 역사는 지배계급의 억압이 영원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홍콩의 사회운동은 일시적으로 침체될 수 있지만, 억압이 심화될수록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발아할 가능성이 있다. 홍콩 시민들은 이미 2003년 국가보안법 23조 반대 시위, 2012년 애국교육 반대 시위, 2014년 우산 혁명, 그리고 2019년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 운동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저항해 왔다. 이러한 투쟁의 경험과 기억은 사라지지 않으며, 미래의 저항을 위한 자양분이다. 좌파는 투쟁의 연속성을 믿으며, 현재의 어려움이 결코 마지막이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통제와 친시장 정책은 홍콩 내 빈부격차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주거 문제, 높은 물가, 노동착취 등의 문제는 결코 해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불만이 누적되면 언젠가는 새로운 사회운동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좌파는 이러한 사회경제적 모순이 새로운 계급 투쟁과 사회 변화를 위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간파하고, 이 잠재적 동력을 조직하고 연대를 예비해야 한다.

투쟁은 계속된다

공개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홍콩 사회운동은 지하화되거나 소규모 네트워크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당장 눈에 띄는 대규모 시위는 없겠지만, 시민들 사이의 유대감과 저항 의지를 내면화하고 새로운 연결망을 구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러한 풀뿌리 차원의 저항은 정부의 감시를 피하며 지속될 수 있으며, 언젠가 기회가 왔을 때 다시 폭발적으로 분출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동아시아 좌파는 이러한 지하화된 저항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연대와 지지를 이어가야 한다.

2000년대 이래 홍콩 사회운동은 동아시아 사회운동에 영향을 미쳐왔다. 홍콩 좌파의 경험은 한국·일본·대만 등에 불평등과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경고이자, 끈질긴 저항의 영감이 됐다. 이후 홍콩의 활동가들은 해외에서 목소리를 내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다. 하기에 홍콩 바깥의 사회운동은 멈추지 않고 서로의 투쟁 경험을 공유하며 연대를 도모해나갈 필요가 있다. 이는 고립된 투쟁이 아니라 아시아와 전 지구의 민주주의와 불평등에 맞선 투쟁의 일부임을 깨닫게 한다.

중국 안팎의 권위주의 통치와 패권적인 대외 노선도 영원할 수는 없다. 내부의 사회경제적 모순, 소수민족 문제, 자유에 대한 민중의 갈망은 사라질 수 없다. 홍콩의 민주주의 상실은 중국 내부의 모순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이는 홍콩을 비롯한 동아시아 여러 도시들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홍콩 좌파는 이러한 거시적 역사에서 자신들의 투쟁을 위치시키며, 중국대륙 안팎의 아래로부터의 저항과 연대할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홍콩 좌파가 마주한 객관적 현실은 어둡다. 하지만 오늘의 좌절을 넘어 더 깊은 성찰과 새로운 투쟁 방식을 모색하며 희망의 씨앗을 이어가야 한다. 억압 속에서도 저항의 불씨는 꺼지지 않으며, 불평등과 억압은 또 다른 형태의 운동을 촉발할 수 있다.

[참고] 먼지가 되기보다 재로 남기를 (寧化飛灰、不作浮塵)

– 사회민주연선의 해산 선언

내년 5월 1일 노동절은 사회민주연선 20주년을 기념하는 날이 됐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사민련은 그날을 맞이하지 못하게 됐습니다. 엄청난 정치적 압력에 직면한 우리는, 깊은 슬픔을 안고 신중한 검토 끝에 — 특히 우리 회원들과 동지들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해 — 해산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게 됐음을 발표합니다.

창립 이래 사민련은 보편적 선거권이 결여되고 특권층에 편향된 정치 체제 하에서 단호하게 목소리를 높이는 저항 세력으로 자부해 왔습니다. 우리는 “인민에게 권력을”이라는 모토를 지키기 위해, 민주주의의 필수적 기둥인 ‘1인 1표 권리’를 위해 투쟁했을 뿐만 아니라, 청원·집회·주민투표 등 다양한 직접행동을 통해 인민에게 돌아가야 할 권력을 되찾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약자 옆에 굳건히 선다”(濟弱扶傾、義無反顧)는 원칙을 바탕으로, 우리는 억압된 목소리를 증폭시키고 부당한 정책과 낭비적인 백상어 프로젝트를 폭로했습니다. 우리는 “투쟁 없이는 변화도 없다”고 외치며, 입법부·거리·법원 등 모든 곳에서 비폭력 저항을 통해 시민권 확대·보편적 선거권·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투쟁해 왔습니다.

지난 20년간 사민련은 홍콩의 주요 사회운동과 정책개혁 이니셔티브에 적극 참여해 왔습니다. 우리는 항상 그 자리에 있었고, 결코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지난 19년간 우리는 내부 갈등의 고난과 지도부의 투옥을 견디며, 시민사회 붕괴, 민중 목소리에 대한 억압, 만연한 검열, 반대 의견에 대한 잔혹한 탄압을 목격했습니다. 이러한 역경에도 불구하고 사민련은 창립 가치와 신념에 충실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며 버텼습니다.

이제 길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좁아졌습니다. 우리는 무거운 마음과 양심의 아픔을 안고 떠납니다. 우리가 마지막으로 쓰러지는 이들이 아닐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앞길은 더욱 위험합니다. 사민련은 홍콩의 저항 역사에서 한 장을 닫습니다. 그러나 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의 정신은 살아 있습니다. 우리가 물러나더라도, 어둠 속에서 투쟁하는 이들과 함께 서겠습니다.

미국의 작가 잭 런던(Jack London)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먼지가 되는 것보다 재가 되는 것을 택하겠다! 내가 피운 불이 화려한 불꽃으로 타오르다 꺼지는 것이, 썩은 나무가 되어 꺼지는 것보다 낫다.”

어둠을 두려워하지 말고, 무의미함 앞에서 주저하지 맙시다. 홍콩의 모든 어두운 구석에서, 우리는 확신으로 빛나기를 바랍니다. (讓我們在香港的各個領域中,不為無力感所挫,不為黑暗所懼,繼續為信念發光!)

사회민주연선

2025년 6월 29일

글 : 김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