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적 생태사회주의의 두 가지 목표
2024년 9월 10일
제이슨 히켈(Jason Hickel)은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의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UAB)와 사회문화인류학과 교수다. 국내에 번역된 『격차: 세계적 불평등과 그 해결책에 대한 간략한 안내서』와 『적을수록 풍요롭다』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 글은 <먼슬리 리뷰> 75권 04호(2023년 9월)에 실 렸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이중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기후 변화와 지구 시스템의 기타 여러 압력이 행성의 경계를 위험할 정도로 넘어서고 있는 생태적 위기다. 다른 하나는,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박탈당하고 있는 사회적 위기다. 인구의 40% 이상이 영양가 있는 음식을 살 수 없고, 50%는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갖추지 못했으며, 70%는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제국주의적 구조조정과 불평등한 교환의 동학이 빈곤과 저개발을 지속시키는 주변부에서 박탈이 가장 극심하다. 그러나 중심부에도 그 증거가 있다. 미국에서는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고, 영국에서는 430만 명의 어린이가 빈곤에 시달리며, 유럽연합에서는 9천만 명이 경제적 불안정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박탈의 패턴은 인종과 성별에 따른 잔인한 불평등으로 점철되어 있습니다.
생태 위기를 분석하고 해결하겠다고 약속하는 어떤 정치 프로그램도 사회적 위기를 동시에, 즉 한 번에 분석하고 해결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한쪽을 배제하고 다른 한쪽을 해결하려고 하면 근본적인 모순이 고착되어 결국 괴물을 낳게 될 것이다. 실제로 괴물은 이미 등장하고 있다.
사회-생태적 이중 위기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 생산 시스템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두 가지 차원은 동일한 근본적인 병리의 증상이다. 여기서 자본주의란 사람들이 흔히 쉽게 생각하는 것처럼 단순히 시장, 무역, 기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 니다. 이러한 것들은 자본주의 이전부터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으며 그 자체로는 별로 해롭지 않다.우리가 직면해야 할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특징은 그 존재 조건이 근본적으로 반민주적이라는 점이다.
물론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정치 지도자를 선출하는 선거 정치 시스템(그 시스템이 아무리 부패하고 포획되어 있다고 해도)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생산’ 시스템에서는 민주주의에 대한 얕은 환상조차도 존재하지 않는다. 생산은 대기업, 주요 금융회사, 투자 가능한 자산의 대부분을 소유한 1%의 자본에 의해 압도적으로 통제된다. 자본은 우리의 집단적 노동과 지구의 자원을 원하는 대로 동원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무엇을 생산하고, 어떤 조건에서 생산하며, 생산된 잉여를 어떻게 사용하고 분배할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명백하게도, 자본에 있어 생산의 주된 목적은 특정한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거나 사회적 진보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며, 구체적인 생태학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오히려 가장 중요한 목표는 이윤을 극대화하고 축적하는 것이다.
그 결과 자본주의 세계 시스템은 왜곡된 생산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자본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산업용 육류, 패스트 패션, 무기, 화석 연료, 부동산 투기 등 수익성이 높은 생산물에 자금을 집중하는 동시에 대중교통, 공공 의료, 영양가 있는 음식, 재생 에너지, 저렴한 주택 등 필수 재화와 서비스의 만성적인 부족을 재생산한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국가 경제 내에서 발생하지만 제국주의적 차원도 분명히 존재한다. 글로벌 남반구 전역 의 토지, 노동력, 생산 능력은 식량, 주택, 의료, 교육, 산업재를 생산하여 국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대신에, 북반구 기업이 지배하는 글로벌 상품 체인에 공급하는 데 묶여 있다. 치키타의 바나나, 자라의 면화, 스타벅스의 커피, 애플의 스마트폰, 테슬라의 콜탄은 인위적으로 하락한 가격으로 중심부의 이익을 위해 이용된다. 중심부에서의 자본 축적은 주변부의 노동력과 자원을 빼내는 것에 의존한다.*1
따라서 극도로 높은 수준의 총생산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한계를 훨씬 넘어서는 에너지 및 물질 사용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세계 경제에서 빈곤이 여전히 만연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자본주의는 너무 많은 것을 생산하지만, 올바른 것을 충분히 생산하지 않는다. 필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은 상품화로 인해 제한되며, 자본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특히 주변부에서 노동력을 값싸게 하려고 하기 때문에 노동계급의 소비는 제약을 받는다.
표트르 크로포트킨은 130여 년 전에 이러한 동학을 발견했다. 그는 『빵의 쟁취』에서 19세기 유럽에서 높은 수준의 생산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인구가 비참한 삶을 살았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왜 그랬을까? 자본주의하에서 생산은 “독점자에게 가장 큰 이윤을 제공하는 것”을 중심으로 동원되기 때문이다. “소 수의 부자가” “국가의 경제 활동을 조종한다”고 그는 썼다. 한편, 스스로의 필요를 위해 생산하지 못하는 대중은 “한 달, 심지어 일주일 동안의 생계 수단을 미리 확보하지 못한다.”
크로포트킨은 “마구간, 사육장, 부자들의 후견인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의 변덕과 유행에 민감한 군중의 타락한 취향에 부응하기 위해, 다시 소비자에게 필요 없는 물건을 사도록 강요하거나 과대포장으로 열등한 물건을 강요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절대적으로 해롭지만 제조업체에는 이익이 되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낭비되는 모든 노동을 생각해보라”고 촉구했다.*2
그러나 이 모든 생산적인 활동은 다른 목적을 위해 조직될 수 있다. 크로포트킨은 “이런 식으로 낭비되는 것은 유용한 물건의 생산을 두 배로 늘리거나, 우리의 공장과 공장에 기계가 넘쳐나서 현재 국가의 3분의 2에 부족한 모든 것을 곧 상점에 넘쳐나게 하는 데 충분할 것”이라고 썼다. 노동자와 농민이 생산수단을 집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면 크로포트킨이 말한 “모두를 위한 복지”를 쉽게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의 특징인 대량 빈곤, 박탈, 인위적인 희소성은 어느 정도 즉시 종식될 수 있다.
크로포트킨의 주장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에게 적절한 삶을 보장하는 데에 전 세계 총 생산 역량의 일부만 사용하면 가능하다. 그러나 생태 위기의 현실과 함께 우리는 19세기에는 크로포트킨이 인식하지 못했던 두 번째 도전, 즉 모두를 위한 웰빙을 달성하는 동시에 에너지와 물질의 총 사용량(특히 중심부에서)을 줄여 충분히 빠른 탈탄소화를 실현하고 세계 경제를 지구적 한계 내로 되돌리기 위한 도전에도 직면해야 한다.*3 이를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효율성 개선도 중요하지만 고소득 국가에서는 과도한 에너지와 물질 사용을 직접 줄이기 위해 필요성이 덜한생산 형태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4
자본주의가 항상 전자의 목표(모두를 위한 복지)를 달성하지 못했다면, 후자의 목표도 달성할 수 없을 것이 분명하다. 이는 자본주의 경제의 핵심 논리인 총생산을 무한정 늘려 영구적인 축적의 조건을 유지한다는 것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
크로포트킨이 주장한 것처럼 금융과 생산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달성하고 이제 웰빙과 생태라는 두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금융과 생산을 조직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서는 크로포트킨이 주장했듯이 사회 발전을 위해 반드시 증가해야 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생산과 시급히 축소해야 하는 파괴적이고 필요성이 덜한생산 형태를 구분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 세대가 직면한 혁명적인 세계사적 목표다.
그런 경제는 어떤 모습일까? 몇 가지 핵심 목표가 눈에 띈다.
첫째, 사회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보편적 공공서비스를 확대하고 탈상품화해야 한다.*5 여기에는 의료와 교육은 물론 주택, 대중교통, 에너지, 물, 인터넷, 보육, 여가 시설, 모두를 위한 영양가 있는 음식도 포함된다. 모든 사람이 웰빙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우리의 생산력을 동원해야 한다.
둘째, 재생 에너지 용량을 구축하고, 주택을 단열하고, 효율적인 가전제품을 생산 및 설치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고, 사회적으로 필요하고 생태적으로 효율적인 기술을 혁신하기 위해 야심찬 공공사업 프로그램을 수립해야 한다. 이는 가능한 한 빨리 이루어져야 하는 필수적인 개입으로 자본이 그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다.
셋째, 공공 일자리 보장을 도입하여 사람들이 이러한 중요한 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직장 민주주의와 생활 임금을 통해 의미 있고 사회적으로 필요한 일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일자리 보장을 위해 통화 발행자가 재원을 조달하되, 적절한 수준의 지역에서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 접근법의 힘을 생각해 보자. 생태학적으로 필요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실업도 없앨 수 있다. 경제적 불안을 없앨 수 있다. 총생산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좋은 삶을 보장하므로 웰빙과 성장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다. 경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민간 기업을 민주화하여 노동자와 지역사회의 적절한 통제하에 두고, 웰빙과 생태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생산을 재편해야 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생태적으로 필요한 부문을 확보하고 개선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덜 필요한 생산 형태도 축소해야 한다. 화석연료 산업을 공정하고 정의로운 방식으로 축소하기 위해서는 구속력 있는 목표가 필요하다.*6 또한 탈성장 학계에서 지적하듯이 자동차, 항공, 저택, 산업용 육류, 패스트 패션, 광고, 무기 등 다른 파괴적인 산업의 총생산량을 줄이는 동시에 제품 수명을 연장하고 계획된 노후화를 금지해야 한다. 이 과정은 민주적으로 결정되어야 하지만, 생태학이라는 물질적 현실과 탈식민주의 정의의 명령에 근거해야 한다.*7
마지막으로, 부유세와 최고 소득세율로 부자들의 과도한 구매력을 시급히 줄여야 한다.*8 현재 백만장자들이 지구 온난화를 1.5°C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남은 탄소 예산의 72%를 태우고 있다.*9 이것은 인류와 살아있는 세계에 대한 심각한 공격이며 우리 중 누구도 이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 생태계의 비상 상황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과소비하는 엘리트층을 지원하는 데 계속 투입하는 것은 비합리적이고 부당한 일이다.
이러한 조치를 취한 후 우리 사회가 필요한 것을 생산하는 데 더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주간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유 시간을 제공하며 필요한 노동력을 더 고르게 분배하여 실업을 영구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에는 국제주의적 차원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생태학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심부에서는 과도한 에너지와 물질 사용을 줄여야 하고, 주변부에서는 생산 능력을 되살리고 재조직하며, 인간의 필요를 충족하고 발전을 달성하기 위해 생산량을 보편적 복지에 충분하고 생태적 안정성과 양립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수렴시켜야 한다.*10 글로벌 남반구의 경우, 이를 위해서는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대외 부채를 청산하며, 필요한 기술의 보편적 가용성을 보장하고, 정부가 경제 주권을 확보하여 진보적인 산업 및 재정 정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효과적인 다자적 행동이 부재한 상황에서 남반구 정부는 주권적인 발전을 위한 일방적 또는 집단적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취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원을 받아야 한다.*11
이 모든 것이 분명히 해 주듯이, 지난 10년간 과학자들과 활동가들의 상상력을 넓혀준 탈성장은 생태사회주의와 반제국주의를 위한 광범위한 투쟁의 한 요소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
위에 설명한 프로그램은 저렴할까? 정의상 그렇다. 저명한 자본주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도 인정했듯이, 그리고 사회주의 경제학자들도 항상 이해해 왔듯이, 생산 능력의 측면에서 우리가 실제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 능력에 관해서는 우리에게는 충분한 능력이 있다. 금융과 생산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확립함으로써 우리는 이 능력을 낭비적인 생산과 엘리트 축적에서 벗어나 사회적, 생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용도로 전환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유토피아적으로 들린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실제로 매우 인기 있는 정책이다. 보편적 공공서비스, 공공 일자리 보장, 더 많은 평등, 성장보다는 복지와 생태에 초점을 맞춘 경제. 여론조사와 설문조사에서 이러한 아이디어에 대한 다수의 강력한 지지가 나 타났다. 여러 국가의 공식 시민 의회에서 바로 이러한 종류의 전환을 요구했다. 이것들은 대중적이고 실행 가능한 정치적 의제가 될 잠재력이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상 유지로 막대한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 대한 대대적인 정치적 투쟁이 필요하다. 지금은 실패한 시스템의 가장자리를 손보는 온건한 개혁주의가 필요한 시기가 아니다. 지금은 혁명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동원된 환경운동이 이러한 변화의 유일한 주체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환경운동은 생태 문제를 대중 담론의 최전선으로 끌어올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필요한 전환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 분석과 정치적 영향력이 부족하다. 부르주아 녹색당은 노동계급의 생계, 사회 정책, 제국주의 동학에 대한 위험한 무관심으로 특히 심각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환경운동가들이 파업의 힘을 포함하여 훨씬 더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노조, 노동운동, 기타 노동계급 정치 조직과 동맹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고중요하다.
이를 위해 환경주의자들은 위에 나열한 사회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고, 노동계급 공동체와 많은 노조가 급진적인 생태적 행동이 생계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두려워하게 만드는 경제적 불안을 없애는 일을 조직화해야 한다. 하지만 노조도 움직여야 한다. 나는 외부의 비평가로서가 아니라 평생의 노조원으로서 이렇게 말한다. 자본주의 경제의 일반적 구조는 그대로 둔 채 노동운동의 정치적 지평이 임금과 조건을 둘러싼 산업별 싸움으로 축소되는 것을 방치할 수 있을까? 우리는 원래의 야망을 되찾고 실업자뿐만 아니라 전 부문에 걸쳐 단결해서, 모두를 위한 사회적 기반을 확보하고 경제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심부의 진보적 운동은 글로벌 남반구의 급진적이고 반식민적인 사회운동과 단결하고, 이를 지지하고, 방어해야 한다. 주변부의 노동자와 농민은 자본주의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노동력의 90%를 제공하며, 남반구는 세계 경작지와 주요 자원의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남반구의 노동자와 정치 운동을 혁명적 변화를 이끄는 주체로 내세우지 않는 정치 철학은 요점을 놓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통의 정치적 요구를 중심으로 조직하고, 연대를 구축하고, 단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략이 필요하고 용기가 필요하다. 희망이 있을까? 그렇다. 우리는 경험적으로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세계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희망은 우리의 투쟁만큼만 강해질 수 있다. 우리가 희망을 원한다면, 그런 세상을 원한다면, 우리는 투쟁을 만들어야 한다.
참고 자료
- Jason Hickel, Christian Dorninger, Hanspeter Wieland, and Intan Suwandi, “Imperialist Appropriation in the World Economy: Drain from the Global South through Unequal Exchange, 1990–2015,” Global Environmental Change 73 (2020): 102467.
- Peter Kropotkin, The Conquest of Bread (1892), marxists.org.
- Jason Hickel, Daniel W. O’Neill, Andrew L. Fanning, and Huzaifa Zoomkawala, “National Responsibility for Ecological Breakdown: A Fair-Shares Assessment of Resource Use, 1970–2017,” Lancet Planetary Health 6, no. 4 (2022): e342–e349; Jason Hickel, “Quantifying National Responsibility for Climate Breakdown: An Equality-Based Attribution Approach for Carbon Dioxide Emissions in Excess of the Planetary Boundary,” Lancet Planetary Health 4, no. 9 (2022): e399–e404; Lorenz T. Keyßer and Manfred Lenzen, “1.5°C Degrowth Scenarios Suggest the Need for New Mitigation Pathways,” Nature Communications 12, no. 1 (2021): 2676; Jason Hickel et al., “Urgent Need for Post-Growth Climate Mitigation Scenarios,” Nature Energy 6, no. 8 (2021): 766–68. A free PDF of this article is available at jasonhickel.org/research.
- Jason Hickel, “On Technology and Degrowth,” Monthly Review 75, no. 3 (July–August 2023): 44–50; Jefim Vogel and Jason Hickel, “Is Green Growth Happening?: Achieved vs. Paris-compliant CO2-GDP Decoupling in High-Income Countries,” Lancet Planetary Health (2023, forthcoming).
- Jason Hickel, “Universal Public Services: The Power of Decommodifying Survival,” MR Online, April 21, 2023.
- 다음을 보라. Fossil Fuel Non-Proliferation Treaty Initiative.
- 우리는 영국, 프랑스, 스페인의 시민 의회를 통해 사람들이 필요성이 덜한생산 형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줄이는 데 동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실험적 조건 하에서 사람들은 정의롭고 생태적인 방식으로 자원을 관리하려고 노력한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민주적 공유지 관리에 관한 엘리너 오스트롬 등의 연구를 통해 확인). 다음을 참고하라. Oliver P. Hauser, David G. Rand, Alexander Peysakhovich, and Martin A. Nowak, “Cooperating with the Future,” Nature 511, no. 7508 (2014): 220–23. 민주주의는 사회주의의 핵심 가치이지만 과학(즉, 물질적, 생태적 현실에 대한 입장이 경험적으로 견고해야 함), 정의, 연대의 가치도 마찬가지다. 중심부에 있는 사람들이 생태 파괴를 악화시키거나 주변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방식으로 에너지와 물질 사용을 늘리기로 민주적으로 결정한다면, 사회주의자들은 이에 반대하고 노선 변경을 주장하거나 조직해야 한다.
- Joel Millward-Hopkins and Yannick Oswald, “Reducing Global Inequality to Secure Human Wellbeing and Climate Safety,” Lancet Planetary Health 7, no. 2 (2023): e147–e154. See also Jason Hickel, “How Much Should Inequality Be Reduced?,” Al Jazeera, December 14, 2022, aljazeera.com.
- Stefan Gössling and Andreas Humpe, “Millionaire Spending Incompatible with 1.5°C Ambitions,” Cleaner Production Letters 4 (2023): 100027.
- Hickel, O’Neill, Fanning, and Zoomkawala, “National Responsibility for Ecological Breakdown”; Hickel, “Quantifying National Responsibility for Climate Breakdown”; Keyßer and Lenzen, “1.5°C Degrowth Scenarios Suggest the Need for New Mitigation Pathways”; Jason Hickel and Dylan Sullivan, “Capitalism, Global Poverty, and the Case for Democratic Socialism,” Monthly Review 75, no. 3 (July–August 2023): 99–113.
- Jason Hickel, “How to Achieve Full Decolonization,” New Internationalist, October 15, 2021; Samir Amin, Delinking: Toward a Polycentric World (London: Zed Books, 1980).
글 : 제이슨 히켈(Jason Hickel)
번역 : 구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