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아와 튀르키예 지진에 고통받는 쿠르드인과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
2023년 2월 19일
쿠르드족과 로자바
쿠르드족은 쿠르드어를 사용하며, 시리아 동북부와 튀르키예 동부, 이란 서부, 이라크 북부 일대에 거주하는 산악 민족이다. 근대 국민국가가 아닌 민족으로는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약 3,700~4,600만 명). 쿠르드는 ‘산(山)’을 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유목 생활과 연관이 있다. 중세 페르시아 문헌에서 '쿠르드'는 유목민 혹은 움막 거주자를 뜻한다.
과거 쿠르드인들은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 하지만 1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만투르크가 서유럽 열강에 패배하면서, 영국과 프랑스의 자의적인 영토 분할을 겪었고, 오늘날의 튀르키예(이하 '터키'), 이란, 시리아, 이라크의 국경으로 분할되어 통치받게 됐다.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서 서구 열강이 자의적으로 그어놓은 국경은 20세기 이후 무수히 많은 불행을 낳은 근본적 원인이다.
1923년 당시 튀르키예는 쿠르드족 사람들과는 아무 상의없이 연합국들과 로잔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조약에 따라 쿠르드인들은 근대 국가를 성립할 기회를 상실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열강은 쿠르드족에게 독립국가를 세워주기로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실현되지 않았다. 2차대전 이후 각국이 서구로부터 독립했으나, 이후에도 독립과 자치를 쉽게 누리지 못한 채로 억압받아 왔다. 특히 오스만 제국의 해체 이후 성립된 튀르키예 공화국은 와해되던 당시 튀르키예를 강한 국가로 통일시키기 위해 쿠르드어를 완전히 금지하고, 강하게 억압했다. 튀르키예 정부는 쿠르드족을 "산악 튀르키예인"이라고 칭하면서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조차 인정하려 들지 않았고, 수십만 명의 쿠르드인을 서부 아나톨리아와 중부로 강제 이주시키기도 했다.
오늘날 쿠르드인은 크게 4개국에 걸쳐 분포해 있다. 쿠르드족 민중이 살아가는 영역을 기준으로 할 때, 튀르키예는 '북쪽'을 의미하는 바쿠르(Bakur), 시리아 북부는 서쪽을 의미하는 로자바(Rożawa=서쪽), 이란 서부는 동쪽을 의미하는 로힐라타(Rojhilatê), 이라크 북부는 남쪽을 뜻하는 바스라(Başûrê)로 불리고 있다. 전체 쿠르드인의 55% 정도는 튀르키예 동부 바쿠르에 살고 있는데(튀르키예 인구의 20%), 튀르키예 정부로부터 심각하게 억압받고 있다. 이에 반해, 바스라의 쿠르드족은 이라크 정부로부터 자치를 인정받고 있다.

압둘라 외잘란과 로자바 혁명
로자바 땅의 쿠르드인들은 오랜 기간 독립을 위해 싸워왔다.
1970년대 중반, 압둘라 오잘란을 중심으로 쿠르드 노동자당(PKK)이 결성된다. PKK는 1984년 독립운동을 전개하며 내전을 일으키지만 당시 튀르키예 정부의 강력한 탄압으로 4천 명에 가까운 사망자를 기록한 채로 1999년 진압된다. 이후에도 튀르키예 정부는 분할과 지배의 전략을 통해 로자바 쿠르드인과 바스라 쿠르드인의 연대를 효과적으로 방해했다.
20세기 말 독립전쟁을 이끌었던 혁명가 압둘라 외잘란은 1999년부터 현재까지 오랜 시간동안 투옥되었지만, 그곳에서 창안되고 갱신된 그의 사상은 로자바 쿠르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외잘란은 '민족'이란 "공통의 사고방식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라고 정의하고, 다원주의적이고 개방적으로 방법으로 "더 많은 민주주의"를 제기했다. 그는 아나키즘, 페미니즘, 생태학, 직접민주주의 등 개념을 혼합해 국가, 자본주의, 가부장제를 부정하는 정치로서의 '민주연합주의'를 주창하고 있다. 국민국가 혹은 민족국가라는 틀을 벗어나, 급진 민주주의를 전제로 한 연합주의 공통체로 국가를 대체하자는 것이다.
2011년, 우리가 아는 시리아 내전이 시작됐다. 당시 시리아 정부군은 수도 방어를 위해 병력을 북부지역에서 뺐는데, 2013년경부터 이라크를 넘어 시리아까지 세력 범위를 확장시킨 이슬람국가(ISIS)가 침략해왔다. 그러자 로자바 쿠르드인들은 인민수비대(YPG)를 조직해 본격적으로 맞서 싸우기 시작했다. 시리아 북부까지 ISIS의 손에 넘어갈지도 모르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쿠르드인들은 로자바 도시 중 하나인 코바니에서 항쟁을 전개했다. 당시 서방의 군수물자가 지원되면서 코바니를 사수하는데 성공했고, 이후 ISIS를 격퇴하면서 로자바의 관할 범위를 확대했다.
2014년, 쿠르드인들은 로자바에서 다시 '자치지구'를 공식 선포하고 선거를 실시했다. 이렇게 해서 구축한 쿠르드인들의 질서 '북시리아 민주연방'(Autonomous Administration of North and East Syria)을 이른바 "로자바 혁명"이라고 지칭한다.
2015년 10월, 쿠르드인들은 일련의 과정 속에서 아랍인,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체첸인, 체르케스인 등 다른 민족과 연합해 시리아민주군(SDF)을 결성했다. 계속되는 전투의 승리로 덩치가 커진 로자바는 2016년 3월, 북시리아 민주연방을 선포하면서 시리아 내 자치연방을 표방했다.
러시아는 로자바의 자치조직을 인정하였으며, 2017년 9월에는 시리아 외무장관이 협상할 용의가 있다는 말을 하면서 태도를 바꾸었다. 그리고 얼마 후인 10월, 시리아민주군은 ISIS의 거점이었던 락까를 탈환했다. 이로 인해 ISIS와의 전쟁은 종지부를 찍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