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인들 121명, 사상 첫 '한-이스라엘 과학기술교류 동결' 촉구 선언
2025년 4월 21일
4월 21일 이스라엘 대사관 앞에서 열린 "과학기술인들의 한국-이스라엘 과학기술교류 동결 촉구 입장 발표 기자회견" 기자회견 소식을 전하는 이 글은 오마이뉴스에 복수 게재되었다.
오늘(4월 21일) 오전 11시,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앞에서 과학기술인들의 한국-이스라엘 과학기술교류 동결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가자들은 "과학기술이 가자 집단학살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단호하게 외치며, 한국 과학기술계에서 처음으로 이스라엘과의 과학기술 교류 동결을 촉구했다.
공동 개발한 기술로 학살에 이용된다면
121명의 과학기술인들은 '한국-이스라엘 과학기술교류 동결 촉구 성명'을 통해 "국내 과학기술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반인도적 행위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가 가해져 사실상 과학기술 협력이 불가능해진 러시아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에 대한 대응은 명백히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침공에 대한 국내 과학기술계의 모순적 태도가 있다는 것이다.
성명은 현재 한국 과학기술계가 이스라엘과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스라엘은 최소한의 윤리를 무시하고 집단학살을 수행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이스라엘의 산업을 우리나라가 함께 발전시키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한국과 공동 개발할 기술이 전쟁과 학살에 이용되었을 때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우리 은 자신의 연구가 반인도적 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연구자들에게 다음을 제안한다. 이스라엘이 휴전에 다시 응해 영구적인 휴전 협정을 체결할 때까지만이라도, 협력 사업 진행과 지원을 멈추자"며 이스라엘의 집단학살 즉시 중단과 이스라엘과의 과학기술협력 동결을 촉구했다.
“과학기술인들, 존재하는 사람들을 되돌아봐야
이번 기자회견을 주최한 것은 시민사회단체 236개가 연대하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팔레스타인 긴급행동)이었지만, 아이디어는 이공계 대학원생 네 명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위대현 이화여대 교수가 대독한 제안자들의 발언문에 따르면 성명은 3월 18일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휴전 파기 직후 준비됐다. "왜 한국 과학기술계는 집단학살에 대해 강력한 행동을 취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꼈다"는 제안자들은 휴전 파기 이후 공동으로 초안을 만들었고, 전국대학원생노조와 팔레스타인 긴급행동 등 시민단체들이 연명 운동을 확산시켰다.
제안자들은 "학살의 효율성을 올리고 있는 과학기술 시대의 전쟁이기 때문에 무미건조한 시선으로 지나치지 않고 '사람'을 생각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며 "과학기술인이기 이전에 이 지구 위에 함께 살아가는 이웃으로서 우리의 이웃들을, 사람으로 존재하려는 사람들을 되돌아봐 달라"라고 간곡히 호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