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
홍콩 항쟁의 실패와 국가보안법 입법 이후 활동 여건이 매우 악화되긴 했지만, 학생운동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을 소개한다.
키위 초우 감독, “이 영화가 상처받은 홍콩인들에게 위로가 되길 바랍니다”
지난 12월 27일 금마장영화제 시상식이 열렸다. 그간 홍콩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공식적인 경로로 볼 수 없었던 다큐멘터리 『시대혁명』이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를 만든 초우군와이 감독은 홍콩에 남아 영상을 통해 수상 소감을 밝혔다.
홍콩 | 푸드판다 배달노동자 파업 끝에 거둔 작은 승리
지난 11월 13일부터 18일까지 홍콩에서는 음식배달 플랫폼 푸드판다 노동자들이 파업을 펼쳤다. 이 투쟁은 어떻게 전개됐고, 무엇을 가리키는가.
홍콩 | 직공맹에 대한 전방위적인 탄압으로 해산 절차 돌입
홍콩 직공맹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사회운동 노조연맹조직이다. 이런 당국의 탄압에 못이겨 직공맹이 해산 절차에 돌입했다.
홍콩 | 지련회 해산과 1세대 민주운동의 종결
홍콩시민지원애국민주운동연합회 상무위원회가 1989년 창립 이래 32년만에 조직의 해산을 결의하였다. 지련회는 홍콩 1세대 민주운동의 구심이다.
홍콩 | 음식배달 플랫폼 푸드판다 노동자들이 불합리한 노동조건에 항의하다
홍콩의 음식 배달 플랫폼 시장은 푸드판다(Foodpanda), 딜리버루(Deliveroo), 우버이츠(Uber Eats) 등 세 기업의 치열한 경쟁으로 점철되어 있다. 2021년 1~4월 측정 가능한 인공지능 거래 전자수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했을 때 푸드판다는 홍콩 내 매출시장 점유율에서
홍콩 코카콜라 노동자들이 임금 삭감에 맞서 파업하다
※ 이 글은 지난 2021년 6월 2일에 발송된 플랫폼c 동아시아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 05호에서 전재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은 월1회 발송됩니다. 👉구독하기 ***** 5월 28일(금), 홍콩의 코카콜라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다. 스위어 베버리지(Swire Beverages)에서 일하는 노동자
홍콩 | 민주파 내 대표적 좌파활동가들이 구속되다
※ 이 뉴스레터는 지난 2021년 5월 4일에 발송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은 월1회 발송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느새 네번째 발행을 맞은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입니다. 조금 늦은 4월호네요. 변덕을 밥 먹듯이 하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후위기의 증거라는
홍콩 좌파는 어디에 서 있는가?
이 글은 지난 6월 14일 홍콩의 좌파 활동가 매체 둔점(蹲點;Squatting)에 실린 인터뷰다. 범죄인 송환조례 반대 운동으로 촉발된 항쟁이 소강기에 접어든 지금, 홍콩 좌파가 주류 운동과 우익들의 적대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힘을 축적할 것인지 어느
홍콩 기본법은 애초부터 베이징에 맞설 수 있도록 고안되지 않았다
[편집자] 최근 홍콩 정세에 관한 글을 연달아 소개한다. 밖에서 보기엔 전광석화처럼 이루어진 것 같은 이번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조치가 무슨 영문에서 일어났는지, 그것이 왜 가능하며, 앞으로 홍콩 항쟁이 넘어서야 할 조건이 무엇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