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화된 바이러스] 코로나19바이러스와 자본주의, 의료공공성
※ 이 글은 2021년 7월 17일 플랫폼c가 주최한 월레포럼 '정치화된 바이러스'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서울지부장이 발표한 발제와 질의응답을 정리한 것입니다. 발표1 : 거리 홈리스와 백신 불평등 / 빈곤사회연대 정성철 👉 읽기 발표2
[정치화된 바이러스] 병상이 있어도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이유
※ 이 글은 2021년 7월 17일 플랫폼c가 주최한 월레포럼 '정치화된 바이러스'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서울지부장이 발표한 발제와 질의응답을 정리한 것입니다. 발표1 : 거리 홈리스와 백신 불평등 / 빈곤사회연대 정성철 👉 읽기 발표2
[정치화된 바이러스] 거리 홈리스와 백신 불평등
※ 이 글은 2021년 7월 17일 플랫폼c가 주최한 월레포럼 '정치화된 바이러스'에서 빈곤사회연대 정성철 사무국장이 발표한 발제와 질의응답을 정리한 것입니다. 발표1 : 거리 홈리스와 백신 불평등 / 빈곤사회연대 정성철 발표2 : 모두를 위한
정치화된 바이러스와 민주노총
수도권 코로나 바이러스 4차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2주 더 연장됐습니다. 백신 개발로 인해 종식될 것이라 믿었던 팬데믹이 다시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모두의 안전을 기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행동하는 것이
콜롬비아 민중들은 더 이상 국가폭력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국가폭력에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전국적 투쟁 ※ 역주 : 수십년 간의 무장투쟁과 국가 폭력의 역사가 지나가고, 최근 1년반 콜롬비아에서는 가두 시위와 대중운동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4월 말~5월 초 시위는 2019년 11~12월의 전국적 투쟁의 최고기록을
코로나19 위기, 우리에게 필요한 게 ‘기본소득’인가?
방향을 잘못 잡은 ‘뉴노멀’ “코로나 이전의 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 요즘 가장 많이 회자되는 말이다. 무서운 전파력을 가진 신종 감염병의 출현으로 우리가 지금까지 알던 ‘일상’은 끝났고, 이제 우리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했던 종류의
코로나19는 자본주의의 종말을 예고하나?
14세기 흑사병 이후의 대중봉기는 중세 봉건주의를 무너뜨렸다. 코로나19도 자본주의의 종말을 불러올 것인가? 폴 메이슨 (영국의 언론인, 작가) 아시아에서 시작된 대유행병은 유럽의 주요 도시들을 휩쓸며 인류의 3할을 지워버렸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봉기가 일어나기 시작했고 중세 봉건 시스템을
정의로운 코로나19 구제 및 부양책을 위한 5가지 원칙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인 보건 및 경제 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 논의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번역하여 소개하는 내용은 300여 개 이상의 미국의 진보적인 사회운동 단체들이 요구하는 구제와 경기부양의 다섯 가지 원칙이다. 사회경제적 불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