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이후 5년의 후퇴, 앞으로 사회운동은 무엇을 해야 할까
사회운동은 촛불항쟁의 성과를 수확할 준비를 갖추었나? 촛불의 열매를 수확한 것은 누구였나?
2000년 이후 진보정당과 사회운동의 선거 대응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시기 선거 대응 쟁점을 둘러싼 진보정당·사회운동의 논쟁을 돌아본다.
산수동 갑부 청년의 지역·노동운동
광주 산수동에 사는 김설 활동가와 지역운동과 사회운동, 중앙과 지역의 위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역사 속 진보정당들의 실패에서 배우자——『세계 진보정당 운동사』 서평
[편집자] 이 글은 지난해 말 출간한 『세계 진보정당 운동사』(장석준, 서해문집)의 서평이다. 지난 5월 플랫폼c에서 진행한 책읽기 모임에서 함께 읽고, 모임에 참여한 성원 중 한 명의 서평을 부탁해 실는다. 최근 녹색당과 정의당 등에서
정의당의 ‘정의로운 복지국가’ 재검토해야
정의당 혁신위원회가 출범했다. 정의당 창당 후 지난 8년 간의 활동에 대해 깊이 있게 점검하고, 향후 10년을 준비해야 할 때다. 단순히 ‘지도부 교체’로 끝나면 제대로 된 혁신이라 말하기 힘들다. 정의당의 체질과 구조를 제대로
진보정당, 평가 매너리즘에서 벗어나기
[주] 21대 총선 이후 19일의 시간이 지났다. 진보정당 활동가인 필자는 현 상황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하는데 있어 극복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어떤 고민 속에서 평가하고 논쟁해야 할지 이야기하고 있다. 진보정당과 사회운동이 가져야
하수처리장으로 전락한 제도정치에서 살아남으려면
지난해 12월 27일 선거연령이 만 18세로 하향되고, 비례의석 30석에 한정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적용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지난해 선거 제도 개혁에 전력을 기울였던 진보정당에게는 마른 땅에 단비 같은 소식이었고, 유권자의 표심을 조금이나마 더
정의당 좌파 : 각자도생 실리주의로 위기 돌파 가능한가?
지난해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세 가지 화두가 있다면 ‘기후위기’와 ‘극우주의’, 그리고 ‘대중봉기’였다. 기후위기에 대한 과학자들과 청소년들의 경고가 세계 주요 도심을 뒤흔드는 250만 명의 도심 시위로 이어졌고, 서울에서도 5천 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