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와 사람 | 페미니스트·인권운동가 황쉐친 구명운동
황쉐친은 중국의 페미니스트이자 저널리스트다. 그는 중국의 미투운동 한복판에서 가장 열성적으로 목소리 낸 페미니스트 중 한 명이다. 황쉐친이 구속된지 10개월째에 접어들었다.
중국 | 대학 캠퍼스 민주벽에서의 저항
민주벽은 현대 중국에서 사상투쟁과 정치 논쟁이 이뤄지는 저항의 양식이다. 최근까지도 대학가에는 민주벽 운동이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청년 세대의 불만과 저항을 엿볼 수 있다.
중국 |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 정부의 모호한 입장
중국 정부의 이중적인 입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한 중국 통치엘리트들의 곤란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 | 언론통제를 뚫고 나온 대륙의 전쟁반대 목소리
중국대륙은 언론 통제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여론을 살핀다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중국 대륙에 사는 14억 명의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처럼 출근하고 학교에 다니는 평범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선
서평 | 동아시아의 국제연대를 위해 내딛은 한 걸음
『사라진 나의 중국 친구에게: 베이징에서 마주친 젊은 저항자들』 서평
중국 | 1922년 카이루안과 안위안 탄광 노동자 파업
중국의 노동자운동은 탄광 노동자 파업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22년 카이루안 탄광 노동자 파업과 안위안 탄광 노동자 파업이 대표적이다.
아프리카 잠비아 노동정치에서 드러난 중국 국가자본의 특수성
아프리카 전역에 진출한 중국 국가자본이 추구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기업과는 차이를 보인다. 포괄적 축적논리를 통해 화폐 보상의 차원 이외에도, 정치 영향과 생산품 자원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다.
중국 | 26세의 노동연구자이자 활동가가 국가정권 전복 선동 혐의로 체포되다
지난 8월 26일 중국의 노동연구자이자 활동가 팡란이 체포됐다. 그에게 적용된 혐의는 국가정권의 전복을 선동했다는 것이다. 그는 누구인가? 왜 체포됐나?
중국 | 日常になった「極端な気候現象」、危機の東アジア
中国河南省の豪雨、日本の大洪水 極端な気候危機、自然なのか
중국 | 알리바바에서 발생한 직장 내 성폭력 사건
세계적인 IT기업 알리바바에서 직장 내 성폭력 사건이 일어났다. 지난 7월 27일, 알리바바의 한 여성 노동자는 산둥성 지난(济南)시에서 열린 회의로 출장을 갔다가 상사 관리자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 나흘이 지난 31일(토), 피해자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