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부채를 탕감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위기의 구조적 요인은 금융화로 인한 경제 실패에 있다. 우크라이나 민중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전쟁 중단과 부채 탕감이 필요하다.
유색인종 난민은 어떻게 해서 감추어지는가
유색인종 난민들에게 따라붙는 인종주의는 국가나 군수산업의 이윤에 따른 지정학적 논리와 맞물려 소위 선진국들의 제국주의적 행보를 재생산한다.
홍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
홍콩 항쟁의 실패와 국가보안법 입법 이후 활동 여건이 매우 악화되긴 했지만, 학생운동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을 소개한다.
전쟁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 저항 선언문
이 선언문은 '전쟁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들'(Feminists against war) 명의로 제안된 연서명 운동입니다. 낸시 프레이저와 실비아 페데리치 등 페미니스트들이 제안하였습니다.
중국 |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 정부의 모호한 입장
중국 정부의 이중적인 입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한 중국 통치엘리트들의 곤란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 | 언론통제를 뚫고 나온 대륙의 전쟁반대 목소리
중국대륙은 언론 통제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여론을 살핀다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중국 대륙에 사는 14억 명의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처럼 출근하고 학교에 다니는 평범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선
미얀마·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되자 잇따라 규탄 시위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동아시아 곳곳에서도 전쟁반대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일본
대만 | 우크라이나 반전 시위에 나선 시민들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시작하자 대만 타이베이의 모스크바-타이베이 조정위원회 대표부 앞에서는 반전 시위가 열렸다.
우크라이나 | 푸틴의 부당한 침략 전쟁과 미국의 패권정책 모두에 맞서 저항하자
야만의 역사를 멈추게 한 것은 언제나 세계적인 반전 운동이 불러온 대중의 힘이었다.
우크라이나 | 나토의 확장은 어떻게 비극으로 이어졌는가
역사는 소련 붕괴 후 수십 년 동안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엄청난 규모의 어리석은 정책 실수였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