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없는 ‘디즈니랜드’ 싱가포르의 사형제도 폐지운동가들
최근 싱가포르에서는 사형제도 폐지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베트남 노동자계급의 저항은 어떤 변화를 이끌었는가
베트남의 개정 노동법에 따르면 이제 개별 사업장에서 독립된 노동자대표단체를 설립할 수 있다. 베트남 노동운동 연구자 조 버클리로부터 이것의 매커니즘에 대해 물었다.
일본 |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 노동조합을 결성하다
지난 6월 13일 일본의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동아시아 no.16 | 태국 여성·성소수자 운동의 오늘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東動] 5월호
일본 | 여성들은 가부장제 사회에 어떤 균열을 내고 있는가
일본은 한국보다도 더 가부장적 사회이고 성차별과 성폭력이 만연한 사회다. 이러한 일본 사회에서도 성폭력에 맞선 운동의 바람이 조금씩 일고 있다.
태국 | 여성·페미니즘·성소수자 운동의 현재와 미래
태국 여성, 페미니스트, 성소수자들은 가부장제와 프라윳 총리의 정치에 맞서 단결했고, 군주제 개혁을 촉구하는 민주화 단체들과도 연대했다.
대만 | 노동절 집회에서 ‘물가인상에 맞선 투쟁’ 촉구
지난 5월 1일 노동절 대만 타이베이에서도 각지에서 모인 노동조합과 노동단체들의 참여 속에서 노동절 집회가 열렸다.
‘혐중’의 시대, 한·중 청년의 연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새로운 연대를 구축하는 문제는 어디까지나 공동으로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 삶과 미래를 규정짓는 기후위기, 이주민 차별, 노동권 침해 등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전을 공유한다면, 한국·중국의 청년들은 같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음을
홍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
홍콩 항쟁의 실패와 국가보안법 입법 이후 활동 여건이 매우 악화되긴 했지만, 학생운동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을 소개한다.
일본 | 원전 재가동 여론 조성에 맞선 시민사회의 반발
일본 정부가 원전 재가동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맞선 원전반대 운동은 이후 향방을 결정하는 기로에 놓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