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중’의 시대, 한·중 청년의 연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새로운 연대를 구축하는 문제는 어디까지나 공동으로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 삶과 미래를 규정짓는 기후위기, 이주민 차별, 노동권 침해 등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전을 공유한다면, 한국·중국의 청년들은 같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음을
홍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
홍콩 항쟁의 실패와 국가보안법 입법 이후 활동 여건이 매우 악화되긴 했지만, 학생운동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을 소개한다.
중국 | 언론통제를 뚫고 나온 대륙의 전쟁반대 목소리
중국대륙은 언론 통제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공간이기 때문에 여론을 살핀다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중국 대륙에 사는 14억 명의 사람들 대부분은 우리처럼 출근하고 학교에 다니는 평범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선
라틴아메리카 좌파에 대한 미국 민주적사회주의자 내 논쟁
최근 미국 민주적사회주의자들 내부에서 벌어진 논쟁 양상을 통해 미국 사회운동좌파의 국제주의를 둘러싼 논쟁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래로부터의 동아시아 연대를 향해
맨땅에서 헤딩하는 동아시아 국제연대 불지피기 2007년 서브프라임 위기로 시작된 미국발 금융위기는 곧바로 세계화됐다. 세계 곳곳에서 달러 부족 사태가 일었고, 유럽에선 유로 가치 하락으로 인한 재정위기가, 라틴아메리카 등 여타 지역도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었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