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죽어간 러시아 병사는 누구인가
편집자의 말 : 이 글의 원문 《数据故事:那些战死乌克兰的俄兵是谁?》은 5개월 넘게 지속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러시아 병사들의 정체성을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있다. 푸틴의 침략으로 벌어진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민중과 군인뿐 아니라 젊은 러시아 병사들의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부채를 탕감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위기의 구조적 요인은 금융화로 인한 경제 실패에 있다. 우크라이나 민중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전쟁 중단과 부채 탕감이 필요하다.
유색인종 난민은 어떻게 해서 감추어지는가
유색인종 난민들에게 따라붙는 인종주의는 국가나 군수산업의 이윤에 따른 지정학적 논리와 맞물려 소위 선진국들의 제국주의적 행보를 재생산한다.
전쟁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 저항 선언문
이 선언문은 '전쟁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들'(Feminists against war) 명의로 제안된 연서명 운동입니다. 낸시 프레이저와 실비아 페데리치 등 페미니스트들이 제안하였습니다.
중국 |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 정부의 모호한 입장
중국 정부의 이중적인 입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대한 중국 통치엘리트들의 곤란을 드러내고 있다.
우크라이나 | 푸틴의 부당한 침략 전쟁과 미국의 패권정책 모두에 맞서 저항하자
야만의 역사를 멈추게 한 것은 언제나 세계적인 반전 운동이 불러온 대중의 힘이었다.
우크라이나 | 나토의 확장은 어떻게 비극으로 이어졌는가
역사는 소련 붕괴 후 수십 년 동안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엄청난 규모의 어리석은 정책 실수였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우크라이나 | 지정학적 논리 안에서 평범한 사람들은 영원히 말할 수 없다
진짜 문제는 평범한 사람들이 정세의 동요에 직면하여 언제 죽을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꼭두각시’가 될 운명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600일 넘게 이어지는 한일 노동자들의 연대
일본 전자부품 회사 ‘산켄전기サンケン電気’의 한국 지사인 ‘한국산연’의 위장폐업과 정리해고에 맞선 한일 연대투쟁이 600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 새해 첫날 LPG가격 인상이 불러온 대중 봉기
새해벽두 세계를 놀라게 한 카자흐스탄 항쟁은 색깔 혁명이 아니다. 출발은 자나오젠의 노동자들이었고, 수십년 간 누적된 사회적 불만이 폭발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