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기본법은 애초부터 베이징에 맞설 수 있도록 고안되지 않았다
[편집자] 최근 홍콩 정세에 관한 글을 연달아 소개한다. 밖에서 보기엔 전광석화처럼 이루어진 것 같은 이번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조치가 무슨 영문에서 일어났는지, 그것이 왜 가능하며, 앞으로 홍콩 항쟁이 넘어서야 할 조건이 무엇인지
서구 세입자 파업 운동의 역사와 전략
[역주] 코로나 바이러스19가 수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언제 다시 마스크를 벗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지금 한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고용 불안을 겪고 있거나, 이미 일자리를 잃었다. 'K-방역'으로 자화자찬하지만, 우리나라 정부가 코로나가 불러온 경제적 위기와
보다 급진적인 홍콩을 위한 상상력
튄문공원(屯門公園) 시위에서 나타난 본토주의에 대한 고찰 편집자주 : 이 글은 LAUSAN에 기재된 JN Chien의 글 Toward a radical Hong Kong imagination : Reflections on nativism in the Tuen Mun Park protests을 번역한
홍콩 시위는 이주민에 대한 무관심을 멈춰야 한다
[편집자주] 이 글은 지난 8월 23일 ‘오픈 데모크라시’에 실린 Hong Kong’s protest movement must stop ignoring migrant workers을 번역한 글이다. 이후 두 달의 시간이 지났고, 홍콩 정세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이 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