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 물은 모두의 것! 자카르타 주민들의 투쟁
인도네시아의 수도를 민영기업이 운영하는 것에 대한 주민 저항은 ‘물 사유화에 반대하는 자카르타 주민 연합’의 활동으로 큰 추진력을 얻게 되었다.
“오키나와를 평화의 허브로 삼아 아시아를 연결하자”
오키나와현 지사와 하바 구미코는 비정부 단체들이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평화 안보를 위한 네트워크를 만들자고 제안한다.
동아시아와 사람 | 대만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이끌어온 베테랑 활동가 치자웨이
차별받는 이들의 삶을 지탱할 안전망을 구축하고 커뮤니티를 만들어 온 것은 치자웨이를 비롯한 성소수자 인권운동가들의 투쟁으로 이룬 성취다.
싱가포르 | 민주주의 없는 ‘디즈니랜드’의 사형제도 폐지운동가들
최근 싱가포르에서는 사형제도 폐지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베트남 노동자계급의 저항은 어떤 변화를 이끌었는가
베트남의 개정 노동법에 따르면 이제 개별 사업장에서 독립된 노동자대표단체를 설립할 수 있다. 베트남 노동운동 연구자 조 버클리로부터 이것의 매커니즘에 대해 물었다.
일본 |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 노동조합을 결성하다
지난 6월 13일 일본의 아마존재팬 배달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뉴스레터 | ⛈️ 여름 뚫고 기후정의를 위한 행진까지 ㄱㄱ
위클리 사회운동 뉴스레터 2022년 6월 20일 발송
개방적이고 함께 만드는 사회운동으로 재구성하기
박상은 활동가와의 인터뷰 2부에서는 그가 현재 몸 담고 있는 플랫폼c가 어떤 단체이며 어떤 활동 전망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이후 방향은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눴다.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부채를 탕감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위기의 구조적 요인은 금융화로 인한 경제 실패에 있다. 우크라이나 민중의 평화와 재건을 위해 전쟁 중단과 부채 탕감이 필요하다.
유색인종 난민은 어떻게 해서 감추어지는가
유색인종 난민들에게 따라붙는 인종주의는 국가나 군수산업의 이윤에 따른 지정학적 논리와 맞물려 소위 선진국들의 제국주의적 행보를 재생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