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 여성·페미니즘·성소수자 운동의 현재와 미래
태국 여성, 페미니스트, 성소수자들은 가부장제와 프라윳 총리의 정치에 맞서 단결했고, 군주제 개혁을 촉구하는 민주화 단체들과도 연대했다.
동아시아와 사람 | 페미니스트·인권운동가 황쉐친 구명운동
황쉐친은 중국의 페미니스트이자 저널리스트다. 그는 중국의 미투운동 한복판에서 가장 열성적으로 목소리 낸 페미니스트 중 한 명이다. 황쉐친이 구속된지 10개월째에 접어들었다.
뉴스레터 | 🤟 빼앗기고 억눌린 사람들의 투쟁은 계속된다
[2022-05-23 발송] 빼앗기고 억눌린 사람들의 투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단식 농성이 이어지고 있고, 파리바게뜨 노동자들의 노동인권을 보장받기 위한 싸움은 여러 시민사회운동단체들의 연대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얀마 시민불복종운동에 대응하는 국제연대도
인터뷰 | 선거 이후 시작될, 진짜 페미니즘 정치를 위한 한 발
청주페미니스트연대 인터뷰②
을지로 노가리골목 오비베어를 지키자고 외치는 이유
을지오비베어가 지난 4월 21일 건물주인 만선호프 방종식 사장의 야간 불법 강제집행으로 인해 쫓겨났다.
활동가가 가꾸어야 할 자질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이번 인터뷰의 주인공은 박상은 활동가다. 플랫폼c 반상근 활동과 재난사회학 연구자를 오가며 숨가쁘게 활동하고 있다.
인터뷰 | 청주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걔네’의 출범과 지방선거
청주페미니스트연대 인터뷰①
대만 | 노동절 집회에서 ‘물가인상에 맞선 투쟁’ 촉구
지난 5월 1일 노동절 대만 타이베이에서도 각지에서 모인 노동조합과 노동단체들의 참여 속에서 노동절 집회가 열렸다.
‘혐중’의 시대, 한·중 청년의 연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새로운 연대를 구축하는 문제는 어디까지나 공동으로 지향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 삶과 미래를 규정짓는 기후위기, 이주민 차별, 노동권 침해 등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전을 공유한다면, 한국·중국의 청년들은 같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음을
홍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
홍콩 항쟁의 실패와 국가보안법 입법 이후 활동 여건이 매우 악화되긴 했지만, 학생운동은 멈추지 않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홍콩대학 학생들의 입장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