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와 영끌의 희망고문에서 탈출하기
투기 열풍에 포획 당하다 이른바 'MZ세대'라 불리는 청년층의 자산투기 현상이 화제다. 부동산은 물론이고, 주식과 채권을 비롯한 금융상품에 대한 투기 목적의 자산유입이야 이전부터 지적되어 온 현상이지만, 이번에는 뭔가 다르다. 재테크로 돌릴 수 있는 자산이
필리핀 룰루레몬 요가복 의류노동자의 승리
※ 이 글은 지난 2021년 6월 2일에 발송된 플랫폼c 동아시아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 05호에서 전재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은 월1회 발송됩니다. 👉구독하러가기 ***** 필리핀 팜팡가(Pampanga)주 클라크 자유무역구역(Clark Freeport Zone)에 위치한 캐나다 기업 룰루레몬(Lululemon) 생산공장에는 2년간 치열하게
홍콩 | 민주파 내 대표적 좌파활동가들이 구속되다
※ 이 뉴스레터는 지난 2021년 5월 4일에 발송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은 월1회 발송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느새 네번째 발행을 맞은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입니다. 조금 늦은 4월호네요. 변덕을 밥 먹듯이 하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후위기의 증거라는
콜롬비아 민중들은 더 이상 국가폭력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국가폭력에도 불구하고 이어지는 전국적 투쟁 ※ 역주 : 수십년 간의 무장투쟁과 국가 폭력의 역사가 지나가고, 최근 1년반 콜롬비아에서는 가두 시위와 대중운동이 격화되고 있다. 최근 4월 말~5월 초 시위는 2019년 11~12월의 전국적 투쟁의 최고기록을
미얀마 군부, 노동운동가 표적 체포… 교사들은 수업거부
※ 이 글은 지난 2021년 6월 2일에 발송된 플랫폼c 동아시아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 05호에서 전재했습니다.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은 월1회 발송됩니다. 👉구독하러가기 지난 5월 1일 노동절 직전, 미얀마에서 2명의 노조 활동가들이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체포됐다.
자본주의가 낳은 기후위기의 해결책은 대중운동
『미래가 불타고 있다』 서평 '기후위기'라는 말은 일상이 됐다. 2018년 인천에서 채택된 UN IPCC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는 곳곳에서 인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대통령이 2050년 탄소중립을 언급하고, 국회에서 기후위기 비상 대응
[공동성명]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침공을 즉각 중단하라
※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등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을 규탄하는 160개 한국 시민사회단체는 5월 20일(목) 오전11시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스라엘군의 야만적인 가자지구 침공과 아파르트헤이트를 규탄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의 이번 침공은 라마단 기간 이스라엘 경찰과
중국 음식배송 플랫폼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어떻게 노동강도를 강화시켰나
이 글은 지난 2월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주최로 열린 "인공지능과 노동의 미래 - 아시아 플랫폼 유령노동" 포럼에서의 발표 <동아시아 지역 플랫폼 노동 통제의 양상과 저항>을 바탕으로 한다. 몇 차례에 걸쳐 연재할 예정으로,
성매매에 기생하는 금융자본주의의 추악한 얼굴을 폭로하다
서평 『레이디 크레딧 – 성매매, 금융의 얼굴을 하다』 이 책은 한 쪽 한 쪽 놀라운 폭로들로 가득 차 있다. 책을 다 읽게 되면, 우리는 한국 사회 금융화 시스템의 결과로 많은 여성들에게 성판매라는 선택이